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KOTRA


(라오스 비엔티안무역관) 라오스 광물/에너지산업
KOPIA/ 작성일: 19-06-25 11:00

가. 산업 특성

 

□ 전력 개발 정책 현황

  ㅇ 라오스 정부의 전력개발정책은 △ 국내 전력수요 충당 △ 전력수출 확대 등 2가지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음.

    - 현재 생산전력의 15%만 내수용으로 사용하고, 잉여 생산 전력을 수출

 

  ㅇ 라오스 전력공사(EDL)에 따르면 국내 전력소비는 2005년 기준 1,011Gwh에서 2015년에는 4,239Gwh로 10년간 무려 4배나 증가하면서 과거 국내 송배전망 미비로 2011년에 고작 47%에 불과했던 전체 가구의 전력 공급률이 2018년 들어 94%로 확대되었음.

    - 라오스 정부는 농촌 전력화 계획(rural electrification master plan)을 통해 2020년까지 전체 가구의 98%에 전력 공급 목표

    - 국내 전력수요의 80%는 송배전망 확대, 나머지는 소수력, 태양광 발전 등 재생에너지를 통해 충당 계획. 

 

2cecbfdfccab105344c316ff883d3eb8_1561427
  ㅇ 수출용 대규모 발전소 건설은 라오스 국내자본 및 기술 부족으로 통상 외국기업의 25년 내외 BOT 사업으로 추진

 

  ㅇ 라오스는 북쪽과 동쪽 지방의 국토 약 80%가 산악 및 고원지대로 이루어져 있고, 수량이 풍부한 메콩강 본류와 14개의 지류가 전 국토를 관통하고 있어 지형적 낙차를 이용한 수력발전 잠재력 다대

    - 라오스 정부는 수력발전 잠재력을 34,452MW로 산정하나, 2019년 기준 총 생산량은 7,207 MW에 불과한 실정

 

□ 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개발 현황

 

  ㅇ 라오스 정부는 2010.11월 재생에너지 개발 전략을 수립하고, 2025년까지 국내 에너지 소비의 3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한다는 목표하에 로드맵 추진 중

    - 기본적으로 재생에너지 개발은 국내 에너지수요를 대상으로 함. 

 

2cecbfdfccab105344c316ff883d3eb8_1561427
 

  ㅇ 라오스의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의 가장 큰 장벽은 높은 초기 투자 비용이므로 라오스 정부는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투자자들에게 금전적 혜택과 지원을 제공하고 있음

    - 재생에너지 개발을 위한 민간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생산 장비, 원자재 등에 대한 수입관세 면제, 바이오 연료 생산을 위한 화학물질에 대해 7년간 수입관세 면제 등의 인센티브 제공                                                               

    - 또한 2016년 개정된 투자법에도 바이오 연료 생산, 송전선로 건설, 마이크로 그리드 등 재생에너지 사업 관련 금전적 혜택 및 지원을 장려분야로 명기

 

  ① 바이오 연료

  ㅇ (정책 목표) 2025년까지 전체 수송용 경유 소비의 10%를 바이오연료로 충당 목표

    - 바이오 연료 법령(Decree) 도입, 자트로파, 팜 등 연료작물 재배 확대 및 종자 거래 지원, 산업계와 바이오 연료 생산을 위한 파트너십 체결 등 시행.

 

  ㅇ (현황) 라오스에는 바이오 에너지의 에너지원인 에너지 작물, 유기폐기물, 바이오 가스 등의 바이오매스가 존재함

    - 라오스에서 재배되는 에너지 작물에는 기름 감작물(Pal, Jatropha, Vernicia Montana, 해바라기, 콩류, 코코넛 등), 설탕 및 녹말류(사탕수수, 카사바, 옥수수), 수생식물 등이 있음.

    - 라오스에는 농업 및 임업분야(사탕수수, 쌀 껍질, 옥수수대, 나무 등) 및 도시화 진행 중 발생한 상당한 양의 폐기물이 남아있는 실정이며 라오스 정부는 위의 폐기물이 국가의 에너지 안보를 보장 해주는 중요한 자원이라는 점을 인지하기 시작함.

    - 동물과 가축, 농업, 도시 페기물 및 폐수 처리 공장에서 나온 바이오가스는 라오스에서 상당한 잠재력을 가진 바이오 매스임.

 

  ㅇ (추진 방향) 라오스는 국내 연료 및 가스 자원의 부족으로 해외 석유 의존도가 높은 실정으로, 국가적으로 바이오 연료 개발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촉진하고 있음.

    - 과거 에너지 작물 플랜테이션은 개인 투자자들에 의해 시작되었으나 시범사업에 그침. 이후 라오스 정부는 특히 Jatropha를 활용한 바이오 에너지 생산과 사용을 장려하기 위하여 정책을 마련하고있음.

    - 현재 유기폐기물 관련 대규모 개발은 진행되고 있지 않지만, 동물성 지방, 중고 타이어, 도시 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 디젤 개발은 민간업체들에 의해 시범운행 중임.

    - 라오스 정부는 2025년까지 50,000개의 가정에서 바이오가스 사용 할 수 있도록 계획 중이며, 조명, 보온, 전기 생산에 사용 할 수 있는 대규모의 바이오 가스 발전을 장려하고 있음.

    - Makkao Lao Biodiesel Ltd, Lao Agrotechno Ltd, Kolao Farm and Bion energy company Ltd가 시범운행 수준의 바이오 디젤 생산 연구를 진행중임.

 

  ② 소수력 발전

  ㅇ 농촌 전력화 계획을 기초로 소수력 발전 확대

    - 에너지광산부 차원의 소수력 발전계획 마련, 소수력 발전 자원 평가 및 기존 사업계획 타당성 조사 시행, 5MW 이하 소수력 발전소 건설 투자는 기획투자부의 승인 없이 지방정부의 허가로 가능토록 절차 간소화

    - Pico급 초소수력발전(5kw 이하)에 대한 대중 인식 확대, 시범사업 발굴 등

    - 다만, 라오스 정부는 에너지 개발 전략을 재설립하기 위해 2020년 12월까지 소수력 발전 신규 사업개발의 허가를 중단(2019년 3월 총리령)

 

  ③ 태양광 발전

  ㅇ 태양광 에너지 개발은 전력망 연결이 미비한 지역에 에너지를 공급하고, 민간기업의 투자를 촉진하여 국가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됨

    - 송전망 연결이 어려운 오지지역에 대한 태양광 발전 주택 시스템(solar home system) 시범사업 확대, 태양 PV 시스템과 PV hybrid 시스템을 기존의 송배전망과 연결하는 시범 프로젝트 실시 등.

    - 라오스 에너지광산부에 따르면 2018년 기준으로 태양에너지 발전소가 총 5대를 운영하고 있으며, 총 생산량이 32MW로 연간 59.20Gwh의 전기를 생산하고 있음.

 

  ㅇ 태양열 에너지는 라오스에서 풍부한 에너지 자원 중 하나로, 연간 1,800 ~ 2,000hrs 일조량을 바탕으로 일사량은 4.5-5 kWh/m²/day로 추정되며, 태양광을 이용한 전력생산 잠재력은 511MW로 전망

    - 일조량이 풍부한 남부지역이 태양광 발전에 유리한 것으로 평가

    - 현재 운영 중인 태양광 발전소는 5군데로 생산량은 32MW이며,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있는태양광 사업은 16군데로 전력생산량은 84.3MW로 예상됨

    - 현재 2만여 가구가 태양광 발전 주택 시스템을 사용 중이며, 이외에도 라오스 에너지광산부와 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총괄기구(NEDO)간 협력사업으로 40-100kWp의 PV 시스템이 시범사업으로 실시된 바 있음..

 

  ④ 기타(풍력·지열)

  ㅇ 풍력·지열 에너지에 대한 본격적인 조사와 개발은 부족한 실정임.

    - 풍력 발전은 멀리 떨어진 농촌 지역에 대규모 에너지 발전과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짐.

    - 국제 데이터에 의하면, 라오스의 중부 지역과 지상 50m 이상이고 5.8m/s의 속도를 낼 수 있는 라오스-베트남 국경의 고지대 (Savannaket 과 Khammounane 주) 주변이 풍력 발전의 잠재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ㅇ 라오스 지열 에너지의 경우 잠재력이 다소 낮은 편이며, 현재 에너지 활용 적합성이 부족하여 온천 부근에만 소규모의 지열 자원이 있음.

 

□ 주요 이슈

  ㅇ 현재, 생산 전력의 일부를 송배전선망 설비가 없어 수출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인근국으로 전력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송배전 네트워크 투자 필요

    - 17년 기준, 송전선 총 길이(57,897km) 중 대규모 발전 산업에 적합한 115kv와 230kv 송전선의 길이는 각각 6,422km와 1,619km에 불과 

 

2cecbfdfccab105344c316ff883d3eb8_1561427
 

□ 주요기업 현황

  ㅇ 수력발전 개발 주요업체

    - 라오스 전력공사(EDL), 태국 전력공사(EGAT;Electricity Generating Authority of Thailand), 중국 전력건설공사(Power China), 라오스 국영 지주회사(LHSE; Lao Holding State Enterprise), 기타 수력발전 IPP 사업자 등

  ㅇ 재생에너지 개발 주요업체

    - 정부 외에도, 대학, 연구기관, 비영리 기관 등 다양한 기관들이 재생에너지 연구 및 발전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2cecbfdfccab105344c316ff883d3eb8_1561427
나. 전력산업 수급현황

 

□ 전력 수출입 동향

 

  ㅇ 전기는 ‘17년 기준 라오스 제 1위 수출 품목으로, 전체 수출액 중 약 23%를 차지함(Trade Map, HS Code 2716 기준)

    - 라오스는 태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으로 전력을 수출하고 있으나, 농촌 등 전력망이 닿지 않는 지역 또는 건기로 인해 수력발전이 어려운 경우에는 태국, 중국, 베트남 등에서 일부 전력을 수입 중이나 전력 수출이 수입보다 많은 전력 순수출 국가임 

 

2cecbfdfccab105344c316ff883d3eb8_1561427
□ 주요 전력 수출국 정책 동향

 

  ㅇ (태국) PDP 정책(2025년 이후 3,400MW 수입) 이후 유연한 전력시장 운영

    - 지난 2월 EDL과 전력수출입 MOU체결, 수입 5.7¢(380MW→480MW), 수출 6¢

    - 석탄발전소 전력수입 규제에도 세콩 칼름 석탄화력 PPA 현상 중

 

  ㅇ (베트남) 신규수력 PPA 체결 및 신재생에너지 수입제안 조치 결정

    - 라오스 북부 Nam Xam3(156MW) EVN과 6.9¢ PPA체결 => 최근 라오스 수력사업 사업주와 베트남 EVN간 추가적인 PPA 협상 진행중

    - 주변국으로부터 수력을 제외한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수입제한

 

 전력 생산 및 투자동향

 

  ㅇ 라오스 시장개방 이후 ‘18년 3월까지 전력 부문에 투자된 총 90.1억 달러 중 약 63.1억 달러가 외국인 투자금액으로 전체 FDI 중 약 30%(1위)를 차지함

    - 현재 발전 중인 프로젝트(COD)는 총 27개 (6,362MW)이며, 국내기업이 참여한 프로젝트가 1개(건설 중)로 전반적인 사업 참여가 부진

    * 세피안-세남노이 발전소(410MW) 프로젝트에 한국서부발전(25%), SK 건설(26%)이 참여 

 

2cecbfdfccab105344c316ff883d3eb8_1561427
  ㅇ 라오스 정부는 2030년까지 2만 691MW의 발전용량과 연간 9만 9,470GWH의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183개의 발전소를 건설할 예정임

2cecbfdfccab105344c316ff883d3eb8_1561427
 ㅇ 수력발전소 운영 현황

 

2cecbfdfccab105344c316ff883d3eb8_1561427 

2cecbfdfccab105344c316ff883d3eb8_1561427
 

  ㅇ 신규 수력발전소 건설현황

    - Nam Ngiep1(290MW, 일본 간사이) 발전소 지반이동으로 COD 1년 연기

    - Nam Lick1(61MW, 태국 GPSC) 건설지연으로 COD 6개월 연기

    - Nam Tun1(650MW, 라오 PSG) 금융조달 성공이후 대주단 자금인출 곤란

 

다. 유망분야 및 진출전략

 

□ 한국의 역량

  ㅇ 중국과 일본이 주도하고 있는 대규모 댐건설 프로젝트보다 송배전 네트워크(한전)와 신재생에너지 분야가 적합

    - 국내기업 참여 프로젝트 사고로 인하여 댐건설 분야는 당분간 주춤할 전망

 

2cecbfdfccab105344c316ff883d3eb8_1561428
 

자료: 라오스 에너지자원광산부, EDL(라오스 전력공사), 주한라오스대사관, KOWEPO, 라오스 비엔티안 무역관 자료 종합

 

이전글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2019.06.14 주간입찰정보
다음글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2019.06.21 주간입찰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