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아시아


베트남 전력시장 현황 및 특징 (KOTRA)
KOPIA/ 작성일: 18-08-01 15:10
영상링크

- 수력 및 석탄화력발전이 전체 전력생산량의 70% 이상 -

- 연평균 전력수요 증가율 10% 이상, 경제성장률 훨씬 웃돌아 -

석탄화력발전 및 신재생에너지 개발 비중 확대 전망 -

 

□ 베트남 전력산업 개요

  

  ㅇ 베트남 전력시장 구조 및 주요 시장 참여자들

    - 베트남 전력시장은 베트남 산업무역부(MoIT)가 관리·감독하고 있으며, 전력 및 에너지 관련 법·정책·발전 전략·개발 계획 등을 관장함.

 

 

    - 특히 베트남 전력공사(Vietnam Electricity Corporation, EVN)는 베트남 산업무역부 산하 국영기업으로 베트남 유일의 전력 구매자이자 전력 유통단계를 독점하고 있음.

    - 베트남 전력 생산은 베트남 전력공사(EVN, 61.2%), 베트남 석유가스공사(PVN, 11.5%), 베트남 석탄광물공사(Vinacomin, 4.6%) 등 베트남 국영기업들이 전체 전력설비량 대비 7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2016 베트남 전력공사 연간 보고서).

8bede525b51bedfc339435bb7d3c0660_1533103

 

2020년까지 전력 수요량 연평균 10% 이상 증가 전망, 일각에선 공급 차질 우려

    - 기관별로 통계 수치가 다소 상이하지만, 베트남 산업무역부(MoIT)에 따르면 베트남의 한 해 베트남 전력발전 설비용량(capa) 4만2762MW로 추정됨(2016년 기준, 수입량 포함).

   - 베트남 전력 수요량은 급속한 산업화·도시화에 힘입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임. 베트남 전력공사에 따르면 2010~2015년 연간 베트남 전력판매량 증가율은 10% 이상을 기록함. 또한 2016년 베트남 7차 전력개발계획 개정안(Power Development Plan )에 따르면 2015~2020년간 연평균 전력수요량 증가율은 10.7%를 기록할 전망임.

    - 이처럼 전력 수요량은 매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일각에서는 공급량이 이에 미치지 못해 2020년 이전에 전력 부족 사태가 일어날 수 있음을 우려함. 이에 대해 베트남 정부는 화력발전 개발을 주로 삼고 신재생에너지 비중도 점차 늘릴 계획임.

 

8bede525b51bedfc339435bb7d3c0660_1533103 

□ 베트남 전력산업 특징

   

  ㅇ (전력발전원별) 수력 및 석탄화력발전이 전체 전력생산량의 70% 이상으로 편향된 구조

 

    - 발전원별 전력 케파 비중은 수력(42.1%), 석탄(34%), 가스(17.4%), 신재생에너지(5.4%), 수입(1.4%)로 수력과 석탄화력발전 비중이 매우 높은 특징을 지님.

 

 

    - 2016 3월 개정된 제 7차 베트남 전력개발계획에 따르면 화력발전(석탄 및 가스) 설비용량은 2025 64.9%까지 지속 늘어날 계획임.

    - 수력 발전의 경우, 날씨 및 기후 영향을 많이 받아 베트남에서 계절 간 전력 발전량 차이가 다소 큰 특징을 지님. 2015~2016년 엘니뇨로 인한 가뭄으로 수력 발전 댐 수위가 낮아지면서 전력 생산에 차질을 겪기도 함.

 

8bede525b51bedfc339435bb7d3c0660_1533103
 ㅇ (지역별) 북부는 수력, 중부는 석탄, 남부는 가스발전 비중 높음.

    - 베트남 북부, 중부, 남부별 전력생산용량(capa) 각각 1만5516MW, 9275MW, 1만5455MW임. 북부지역은 수력발전이, 중부지역은 석탄화력 발전이, 남부 지역은 가스화력 발전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베트남 전력공사, 2016 1~10월 기준)

    - 남부지역에서 가스화력 발전 비중이 50%에 육박할 정도로 높은 이유는 석유·천연가스가 매장된 남중국해와 근접한 지리적인 요인 때문임.

8bede525b51bedfc339435bb7d3c0660_1533103 

 

(산업부문별) 제조업, 전력 수요 비중 가장 높음.

    - 산업별 전력 판매 비중은 제조업이 53.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음. 이어서 가정용이 35.1%, 상업용이 5.3%를 차지함부문별로 전력 수요는 베트남 경제 성장 및 삶의 질 향상, 인구 증가 등에 힘입어 매년 매년 증가 추세임.

 

8bede525b51bedfc339435bb7d3c0660_1533103 

□ 베트남 전력개발정책 및 방향

   

  ㅇ 베트남 7차 전력개발계획 개정,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 2016 3 18, 베트남 제7차 전력개발계획(Decision No. 428/QD-TTg)이 개정 및 발표됨. 해당 개정안은 풍력,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이전과 차이점을 지님.

 

 

    · 베트남 신재생에너지 전력용량 비중 목표: (2020) 9.9% (2025) 12.5% (2030) 21%

    - 특히 2011년 초안과는 달리 향후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및 시설 개발계획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명시했다는 점에서 베트남 정부의 적극적인 신재생에너지 개발 의지를 엿볼 수 있음.

8bede525b51bedfc339435bb7d3c0660_1533103

 

ㅇ 베트남 전력시장, 점차 경쟁시장 도입 예정

    - 2013 11월 베트남 정부는 베트남 전력시장 경쟁체제 도입과 관련한 베트남 총리령 Decision No.63/2013/QD-TTg을 발표함. 이에 따르면 베트남 전력시장은 기간별 3단계*로 경쟁시장 체제가 조성됨으로써, 베트남 정부는 자국 전력시장 경영·투자 방식 다양화 및 여러 요소들의 전력시장 참여를 격려할 계획임.

    * 단계별 베트남 전력시장 경쟁 계획: 2014년 발전경쟁 2015~2022년 도매경쟁 2022년 소매경쟁

    - 다만 제7차 전력개발계획에 따르면 송전부분은 국가 전력 시스템 보호를 위해 지금의 독점체제를 유지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임.

8bede525b51bedfc339435bb7d3c0660_1533103 

 

□ 베트남 전력·에너지 정책에 대한 전문가들의 우려

  

  ㅇ 지나치게 높은 석탄 발전 의존도, 환경오염 주범으로 작용할 것

 

    - 2016 3월 발표된 제7차 베트남 전력개발계획 개정안에 따르면 석탄화력발전에 의한 전기생산량 비중이 34.4%(2015) 49.3%(2020) 55%(2025) 53.2%(2030)로 점차 증가할 것이며, 발전용량(capa) 역시 현재 약 1만3000MW에서 2030 5만5300MW까지 확대될 전망임.

 

 

    - 이를 두고 국내외 전문가들은 지나친 석탄화력발전 의존도에 대해 우려를 표시함. 유럽상공회의소 Tomaso Andreatta 부회장은 "베트남은 점차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줄여나가야 하며, 석탄 연료의 과도한 사용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늘리고 환경오염을 일으킬 것"이라고 경고함.

이전글 베트남 신재생에너지시장 현황 및 특징 (KOTRA)
다음글 베트남 전력산업현황 PPT (KOT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