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재외공관


아시아 | (주 카자흐스탄 대사관)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10.4-10.10)
KOPIA/ 작성일: 25-10-14 09:00
첨부파일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10.4-10.10.hwp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10.4-10.10)이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카자흐스탄 원유 가격 변동: 정유사, 휘발유 및 디젤 가격 인상 (10.09, LS)

  • 카자흐스탄에서 정유 기업들이 휘발유와 디젤 가격을 인상했음. 특히 망기스타우 주의 원유 가격은 6.8% 상승하여 인상을 주도했으며, 휘발유는 9.1%, 하계 디젤은 8.5% 등 주요 가격이 전년 대비 눈에 띄게 상승했음.

2. 카자흐스탄, 리튬 및 흑연에 수억 달러 투자 – 특수 광물 생산 계획 (10.06, LS)

  • 산업건설부는 배터리 소재, 내열 합금 재활용, 반도체 생산, 영구 자석 재활용 등 네 가지 핵심 분야를 중심으로 희토류 금속으로부터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사업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음.

3. 석유가 경제를 후퇴시키는 요인인가: 카자흐스탄의 성장동력산업 (10.07, LS)

  • 새로운 '센트라스 500'* 보고서 분석 결과, 카자흐스탄 경제가 명목상으로는 성장했으나 원자재 부문이 투자 감소와 수익성 악화로 성장을 저해하며, IT 및 금융 등 비(非)원자재 부문으로의 자본 이동이라는 구조적 변혁이 시작되었음.

  * 센트라스 500(С500): 2019년에 처음 발표된 카자흐스탄 경제 분석 도구로, 연간 매출 10억 텡게 이상인 기업을 대상으로 재무 보고서를 분석한 랭킹.

 

4. 카자흐스탄, 러시아 국경 정체 문제를 유라시아경제위원회에 공식적으로 이의 제기 (10.09, Kursiv.media)

  • 카자흐스탄 정부는 러시아와의 국경 통과 지점에서 발생하는 심각한 화물차 정체 상황을 '대외 무역을 저해하는 장벽'으로 공식 인정해 줄 것을 유라시아경제위원회(EEC)에 요청했음.

5. 카자흐스탄과 독일, 물산업 분야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10.08, Kapital.kz)

  • 카자흐스탄 수자원관개부는 300개 이상의 물 분야 기업 및 기관을 통합하는 독일 물 파트너십(GWP)과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음. 이 협약을 통해 카자흐스탄은 물 절약 기술 도입, 기후 위험(홍수, 가뭄)에 대한 회복력 증진, 전문 인력 양성 등 물 분야 전반에 걸쳐 독일의 선진 기준과 혁신 솔루션을 활용할 계획임.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기후에너지협력센터 

이전글 (주 이라크 대사관) 경제 동향(9.28~10.5)
다음글 (주 알제리 대사관) 알제리 경제 및 에너지 동향(2025.10.5.-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