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동 | (주 알제리 대사관) 알제리 경제 및 에너지 동향(2025.10.19.-10.25.) | |
|---|---|
| KOPIA/ 작성일: 25-10-29 08:52 | |
| 첨부파일 |
알제리 경제 및 에너지 동향2025.10.19.-10.25..hwp
|
|
경제 및 에너지
가. 그리엡 총리, IATF 2025 계약 기업들과 회의 진행
ㅇ 그리엡 총리는 10.23(목) 테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정부 청사에서 2025 아프리카역내무역박람회(IATF 2025) 당시 계약을 체결한 알제리 경제인들과 업무 회의를 주재하였으며 계약 이행 상황을 점검하고 실행을 위한 구체적 운영 메커니즘 구축 방안을 모색하였음.
- 참석한 경제인들과 정부 관계자들은 아프리카 시장이 제공하는 유망한 경제 기회, 알제리의 아프리카 수출 역량 강화 방안, 지역 경제 통합 가속화에 대응하는 전략적 협력 방향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였으며, 정부는 국내 기업들이 아프리카 시장에 보다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 및 후속 관리체계를 강화하겠다고 언급
나. 아르캅 탄화수소·광물부 장관, 이탈리아 Bnatti社 만남
ㅇ 아르캅 탄화수소·광물부 장관은 10.20(월) 알제리를 방문한 이탈리아 석유·가스 기업 Bonatti社 대표단을 만나 유전 개발, 천연가스 생산능력 증대, 석유·가스·광산 분야 인프라 엔지니어링 및 건설 등 대형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알제리 석유가스 분야 투자 및 파트너십 기회를 논의함.
- 아르캅 장관은 알제리-이탈리아 간 석유·가스 분야 협력을 높이 평가하며 양국 기업 간 파트너십이 신뢰, 기술 이전, 경제적 상호 보완성에 기반한 성공적인 협력 모델이라고 강조
- Bonatti社측은 추후 알제리 내 투자를 확대하고 소나트락(Sonatrach)社와 협력을 지속할 에정이며, 석유·가스 개발 및 운송, 관련 인프라, 대형 광산 프로젝트 등 신규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언급하며, 혁신적 기술과 엔지니어링 솔루션을 제공해 에너지 프로젝트 효율성을 높이고, 알제리의 에너지 전환 및 배출 저감 목표를 지원하겠다고 약속
다. 아르캅 탄화수소·광물부 장관, 제27차 천연가스 수출국 포럼(GECF) 장관급 회의 참석
ㅇ 아르캅 탄화수소·광물부 장관은 10.22(수) 제27차 천연가스 수출국 포럼(GECF) 장관급 회의 참석을 위해 카타르 도하를 방문하였으며 동 회의에서 생산국과 소비국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세계 천연가스 시장의 단기·중장기 전망과 시장 안정화 방안, 공급 안전 강화, 수요와 공급 균형 유지 방안 등을 논의하였음.
- 동 회의 계기 아르캅 장관은 Mohamed Hamel GECF 사무총장과 만나 천연가스 시장 동향 및 GECF 전략 목표 및 기능 발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알제리에 본부를 둔 가스 연구소(GRI)가 기술 지식 발전과 가스 산업 혁신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
- 아르캅 장관은 동 포럼을 국제 가스 산업의 기준점으로 만들고, 생산국과 소비국 간 투명하고 안정적인 시장을 보장하기 위한 대화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포럼 활동을 지속 지원하고 발전시키겠다는 알제리의 의지를 재확인
ㅇ 이어, 아르캅 장관은 Mohsen Paknejad 이란 석유부 장관 및 Saad bin Sherida Al Kaabi 카타르 국무장관 겸 에너지 담당 장관을 각각 만나 양국 간 석유·가스 분야 협력 및 파트너십 현황과 발전 전망을 논의했으며, GECF 및 OPEC+ 내에서의 대화와 협력이 세계 석유·가스 시장 안정에 기여한다는 데 동의함.
라. 에어 알제리, 알제-은자메나 노선 개설
ㅇ 알제리 국영 항공사 에어알제리(Air Algerie)는 10.22(수) 테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카메룬 두알라를 경유하는 알제(Alger)-차드 은자메나(N’Djamena)노선을 새롭게 개설하였으며 이를 통해 알제리의 아프리카 통합 및 대륙 내 경제·외교적 영향력 강화 전략을 실현하겠다고 발표함.
- 이러한 결정은 2025 아프리카역내무역박람회(IATF 2025) 이후 테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진행된 것이며 알제리–차드 간 역사적·형제적 관계 강화 및 경제 교류 확대를 목표
- 에어알제리의 중부아프리카 지역 내 상업적 운항 범위 확대를 위해 매주 화요일, 금요일 운항 예정이며 향후 수요에 따라 운항 횟수 증대 검토 중
출처: 기후에너지협력센터 |
|
| 이전글 | (주 투르크메니스탄 대사관) 투르크메니스탄 최근 주요 경제, 에너지·자원 동향(25.9.27.-10.24.) |
| 다음글 | (주 아랍에미리트 대사관) 2025년 9월 UAE 주요 경제동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