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재외공관


아시아 | (주 카자흐스탄 대사관)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10.25-10.31)
KOPIA/ 작성일: 25-11-03 08:53
첨부파일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10.25-10.31.hwp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10.25-10.31)이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카자흐스탄의 신규 3개 열병합 발전소, '청정 석탄 기술 기반'으로 건설 (10.28, LS)

  • 카자흐스탄 에너지부는 친환경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청정 석탄 기술'을 기반으로 신규 대형 발전소 건설 및 기존 발전소 확장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음. 특히, 코크셰타우, 세메이, 우스티-카메노고르스크에 열병합 발전소를 건설 중이며, 이러한 대규모 발전 프로젝트를 통해 2029년까지 총 6.7GW 규모의 68개 프로젝트를 가동하여 에너지 수출 잠재력을 확대할 계획임.

2. 카자흐스탄,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도입 가능성 면밀 검토 (10.30, LS)

  • 카자흐스탄 원자력에너지청은 에너지 수요 충족 및 외딴 지역 전력 공급을 위해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건설 가능성을 심층적으로 검토 중임. SMR은 빠른 건설 속도, 컴팩트한 크기, 긴 연료 교체 주기 등의 장점을 가지나, 대형 원자로와 달리 아직 상업적 운전 경험이 부족한 초기 단계 기술인 점을 인지하고 영국, 중국, 미국, 러시아 등 여러 국가들의 선진 SMR 프로젝트를 면밀히 분석하고 있음.

3. 카자흐스탄 석유 서비스 회사들, 외국 기업과의 동등한 조건 요구 (10.30, Forbes.kz)

  • 카자흐스탄 석유가스 협의회(PetroCouncil)*는 외국 하도급업체, 특히 중국 기업들의 60~70%에 달하는 가격 덤핑으로 인해 국내 석유 서비스 및 엔지니어링 기업들이 시장에서 밀려나고 있다는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며, 올자스 벡테노프 총리에게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과 국내 산업 보호를 위한 일련의 정책적 조치를 요청함.

PetroCouncil(카자흐스탄 석유가스 협의회): 카자흐스탄의 석유 서비스, 엔지니어링 회사 및 제조업체 연합체

 

4. 지하자원 개발 권리 획득 관련 규제 강화 제안 (10.29, LS)

  • 카자흐스탄 산업건설부 차관은 지하자원 및 지하자원 이용에 관한 법규에 대한 개정안을 제시하며, 경매 낙찰자가 서명 보너스* 납부를 거부할 경우 5년간 채굴권 획득을 금지하는 등 규제를 강화함. 시험 생산을 빙자한 은폐 채굴 행위도 엄격히 금지하고 관련 규정을 위반할 경우 즉시 탐사 라이선스를 취소할 방침임.

서명 보너스(Subscribed Bonuses): 지하자원 이용권을 획득할 때 국가에 지불하는 일회성 고정 금액

 

5. 카자흐스탄과 한국, 드론 공동 생산 착수 (10.29, LS)

  • 카자흐스탄의 United Machinery Resources와 한국의 Preneu가 파블로다르에 합작 투자하여 드론 생산 공장 설립을 준비 중이며, 이는 카자흐스탄에 민간 및 국방용 드론의 완전한 조립 및 서비스 주기를 갖춘 최초의 시설 중 하나가 될 것임. 특히 소스 코드 및 시스템 아키텍처에 대한 통제권 확보를 통해 기술 주권 실현을 목표로 함.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기후에너지협력센터 

이전글 (주 러시아 대사관) 러시아 주요 경제정책 동향(2025.10월)
다음글 (주 알제리 대사관) 알제리 경제 및 에너지 동향(2025.10.26.-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