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재외공관


아시아 | (주 카자흐스탄 대사관)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8.23-8.29)
KOPIA/ 작성일: 25-09-01 08:55
첨부파일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8.23-8.29.hwp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8.23-8.29)이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카자흐스탄 원자력 발전소 관련 러시아 로사톰 대표 인터뷰 (8.25, Kursiv)

  • 러시아 국영 원자력 기업 '로사톰'의 알렉세이 리하초프 대표는 카자흐스탄 울켄 지역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대한 국민투표 결과가 높은 지지를 보였다고 하면서, 울켄 주민들이 직접 자신에게 다가와 건설을 기대한다는 뜻을 전했다고 밝힘.

2. 카자흐스탄, 화물 항공사 설립 추진 (8.28, LS)

  • 카자흐스탄은 국영 철도 회사인 '카자흐스탄 테르미졸(KTZ)'를 기반으로 국영 화물 항공사를 설립할 계획임. 이 프로젝트는 국가의 복합 물류망을 발전시키고 물류 허브로서의 역할을 강화하여 중앙아시아 지역의 환승 잠재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3. 아시아개발은행(ADB), 카자흐스탄 인프라 및 개발에 75억 달러 이상 투자 (8.27, The Astana Times)

  •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지난 30년간 카자흐스탄에 75억 달러 이상을 투자하며 교통, 에너지, 주택, 사회 분야의 주요 파트너로 자리매김했음. 카자흐스탄 정부는 ADB와 사리아가쉬 우회 도로, 친환경 주택 금융 등 새로운 협력 사업을 논의하며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위한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있음.

4. 카자흐스탄의 전기차 보급률은 여전히 낮은 수준 (8.28, Kapital.kz)

  • 2025년 1월부터 7월까지 카자흐스탄에서 등록된 전기차는 총 6,900대로, 전체 신규 등록 차량의 0.7%를 차지함.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4.2% 증가한 수치이나,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의 비중은 여전히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음.

5. 광업 및 야금 산업 투자자를 막는 장벽과 위험 요인: 2024년 투자 규모 3분의 1 감소 (8.26, Kapital.kz)

  • 2024년 카자흐스탄 광업 및 야금 산업에 대한 해외 직접 투자(FDI)가 29% 감소하여 투자자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음. 이는 예측 불가능한 법률 및 세제 변화, 광물 데이터에 대한 투명성 부족, 국가의 시장 개입 확대, 그리고 과도하게 빠르고 엄격한 환경 규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임.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기후에너지협력센터 

이전글 (주 러시아 대사관) 러시아 주요 경제정책 동향(2025.8월 2주)
다음글 (주 알제리 대사관) 알제리 경제 및 에너지 동향(2025.8.24.-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