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재외공관


중동 | (주 알제리 대사관) 알제리 경제 및 에너지 동향(2025.8.24.-8.30.)
KOPIA/ 작성일: 25-09-02 10:07
첨부파일 알제리 경제 및 에너지 동향2025.8.24.-8.30..hwp

경제 및 에너지

 

가. 알제리-중국, 태양광 유리 생산 공장 관련 논의

 

ㅇ 야사(Noureddine Yassaa) 에너지부 신재생에너지 담당 국무차관은 8.26(화) 알제리를 방문한 중국 유리 생산 판매 기업 Kibing Group 대표단을 만나 태양광 유리 생산 공장 설립과 관련된 알제리 태양광 유리 프로젝트(Algeria Solar Glass Project)에 관해 논의함.  

 

    - 동 프로젝트는 연간 153만 톤의 태양광 유리, 연간 108만 톤의 고순도 규사(실리카 모래) 가공 및 활용 가능한 규모의 공장을 설립하는 것으로 약 3,000명의 직접 고용이 가능

 

    - 이를 통해 알제리의 태양광 산업 가치사슬이 구축될 것이며 더 나아가 중동·북아프리카에서 재생에너지 허브로서 알제리의 입지 강화가 기대되는바, 추후 구체적 실무 협의 및 기술 타당성 등 실현 가능성 검토 예정

 

나. 알제리 중앙은행, 기준 금리 인하 및 지급준비율 완화

 

ㅇ 알제리 중앙은행은 8.28(목) 인플리이션 안정세를 반영하여 기준금리를 기존 3%에서 2.75%로 0.25%p 인하, 지급준비율도 3%에서 2%로 1%p 인하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이러한 통화정책 완화 조치는 최근 경제 상황과 중기 경제 전망을 고려해 국내 경제에 대한 은행 시스템의 자금 공급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임.  

 

    -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5.7월 기준 0.35%로, 전년 동월 대비 6%p 하락, 연평균 물가 상승률은 3.14%로 감소(2024.7월: 6.12%)하며 지속적 하락세

 

    - 2025년 1분기 경제 성장률은 4.5%로 전년 동기(4.2%) 대비 상승, 특히 비석유 부문 성장률은 5.7%로 크게 증가(2024년 1분기: 4.3%)

 

    - 알제리 중앙은행은 국내외 경제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면서 필요 시, 통화정책 수단을 유연하게 조정하겠다고 발표

 

다. 알제리 스타트업, 한국 포함 3개국 방문하여 글로벌 혁신 현장 체험

 

ㅇ 알제리 주요 일간지인 El Moudjahid紙는 8.23(토) 테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알제리 청년 스타트업 대표단이 미국·중국·한국의 혁신 생태계를 탐방하여 세계적인 스타트업 및 혁신 생태계를 직접 체험하고, 전략적 파트너십 가능성을 모색하였다고 보도하며 아래와 같이 성과를 언급함.

 

    - 지식경제·스타트업·극소기업부 감독, 공공 액셀러레이터 Algeria Venture가 주관하는 동 스타트업 프로그램을 통해 알제리 스타트업 대표단은 7.11 미국(24명), 7.13 한국(24명), 7.27 중국(25명)을 방문 하였으며 추후 슬로베니아도 방문 예정

 

    - 방문 목적은 △선진국의 성공적인 스타트업 운영 및 혁신 모델 학습, △현지 혁신 리더 및 투자자들과 교류, △기술센터, 인큐베이터, 스타트업 허브 등 현장 직접 탐방, △국제 협력 및 투자 유치 기회 모색

 

    - AgroTech Solutions팀의 Farah Toumi 참가자는 한국을 방문한 뒤, 한국은 스타트업에 대한 전략적 계획과 글로벌 확장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선진 생태계를 구축하였으며  알제리도 이를 참고해 성장할 수 있을것이라 기대한다고 언급

 

라. 제10회 국제 어업·양식 박람회(SIPA 2025) 개최 관련

 

ㅇ 알제리 어업 및 양식 상공회의소(CAPA)가 주관하는 제10회 국제 어업·양식 박람회(SIPA 2025)가 2025.11.6.-11.9 오랑(Oran)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어업과 양식업, 혁신과 파트너십을 주제로 진행되고 약 200여 개의 국내외 기업 및 기관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됨.

 

    - 주요 참가자로는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지중해 수산위원회(CGPM)를 포함한 지역 및 국제 파트너가 있으며, 참가자들은 해양자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경제의 가치 제고, 양식업, 선박 건조, 해양 가공·유통·보험 분야 투자 유치 및 국제 협력 강화를 논의할 예정

 

    - 혁신 기술 및 해양가치사슬에 적용할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 및 청년을 위한 투자자 대상 프로젝트 발표 기회가 제공될 예정 

 

출처 : 기후에너지협력센터 

이전글 (주 카자흐스탄 대사관)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8.23-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