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재외공관


아시아 | (주 카자흐스탄 대사관)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7.19-7.25)
KOPIA/ 작성일: 25-07-29 08:59
첨부파일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7.19-7.25.hwp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7.19-7.25)이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카자흐스탄, 국영 화물 항공사 설립 예정 (7.24, Kapital.kz)

  • 카자흐스탄이 물류 허브로서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항공 화물 운송 시장을 발전시키기 위해 국영 화물 항공사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이는 국가 경제 다각화와 운송 인프라 강화를 목표로 함.

2. 로사톰, 튀르키예 아쿠유 원전 근로자 시위 공식 입장 발표 (7.24, Kursiv.media)

  • 러시아 국영 원자력 기업 로사톰은 튀르키예 아쿠유 원전 건설 현장에서 하청업체 직원의 임금 지연으로 인한 시위가 발생했다고 확인했음. 로사톰은 비우호적인 국가들의 불공정 경쟁으로 인한 자금 조달 문제가 시위의 원인 중 하나라고 밝히며, 튀르키예 측과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고 언급했음.

3. 카자흐스탄, 러시아와 원전 건설 프로젝트의 위험성 일축 (7.21, Interfax)

  • 카자흐스탄 정부는 러시아 로사톰과의 최초 원자력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에 대해 위험이 적다고 판단하였음. 정부는 그 근거로 튀르키예 아쿠유 원전 프로젝트와는 달리 카자흐스탄이 원전의 소유권을 가지게 된다고 강조하였음.

4. 카자흐스탄-중국 국경, 무인 화물 운송 개시 (7.24, The Astana Times)

  • 카자흐스탄과 중국이 톈진 항구에서 카자흐스탄 알틴콜 국경역까지 무인 자율주행 트럭을 이용한 화물 운송을 성공적으로 개시했음. 이는 중앙아시아 지역의 디지털 물류 솔루션 발전과 양국 간 무역 효율성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5. 2025년 상반기 중국-중앙아시아 철도 화물 운송량 25% 증가 (7.23, The Astana Times)

  • 2025년 상반기 중국과 중앙아시아를 연결하는 화물열차 운행 횟수가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하며, 양 지역 간의 무역 및 물류 협력이 강화되고 있음. 중국 전체 철도 화물 운송량도 소폭 증가하여 지역 경제 활동이 활성화되고 있음.

6. 카자흐스탄 에너지부, 흑해 통한 석유 수출 중단 정보 부인 (7.24, Kapital.kz)

  • 카자흐스탄 에너지부는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명령으로 흑해를 통한 카자흐스탄 석유 수출이 중단되었다는 루머를 공식적으로 부인하였음.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기후에너지협력센터

이전글 (주 이라크 대사관) 경제 동향(7.18~7.24)
다음글 (주 알제리 대사관) 알제리 경제 및 에너지 동향(2025.7.2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