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재외공관


아시아 | (주 카자흐스탄 대사관)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8.2-8.8)
KOPIA/ 작성일: 25-08-11 08:58
첨부파일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8.2-8.8.hwp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8.2-8.8)이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알마티, 최대 규모의 공항 현대화 프로젝트 착수 (8.6, The Astana Times)

  • 카자흐스탄의 알마티 국제공항이 2050년까지 유라시아 주요 항공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호라이즌 마스터 플랜'을 가동함. 이 프로젝트는 2028년까지 진행될 1단계 사업에 3억 6,200만 달러를 투자하여 공항 시설을 대폭 확장하고 현대화하는 것을 골자로 함.

2. 유라시아개발은행, 유라시아 연결성 강화를 위한 대규모 계획 공개 (8.7, The Astana Times)

  • 유라시아개발은행(EDB)이 유라시아 운송 네트워크(ETN) 구축을 위해 13개국에 걸쳐 총 2,340억 달러 규모의 325개 프로젝트를 추적 및 조정하는 '운송 프로젝트 관측소'를 공개했음. 이 계획은 특히 중앙아시아 지역의 연계성 강화에 중점을 두며, 중앙아시아 투자 중 약 44%는 카자흐스탄에서 진행될 예정임.

3. 토카예프 대통령, 2025년 대규모 인프라 건설 2건 완료 예정임을 발표 (8.2, Forbes.kz)

  • 카슴-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2025년 내에 '도스틱-모인티' 구간의 철도 복선화와 '알마티 우회 순환도로' 건설이 완료될 것이라고 발표했음. 이 두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는 카자흐스탄의 화물 운송량을 늘리고 물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임.

4. 카자흐스탄 및 세계 석탄 시장 변화 동향 (8.8, Kapital.kz)

  • 카자흐스탄이 에너지 전환 계획에도 불구하고 2035년까지 석탄이 에너지 균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세계 석탄 시장은 2024년 생산량과 수요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2025년 이후 수요 증가세가 둔화하고 가격이 안정화되는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음.

5. 카자흐스탄, 2025년 상반기 연료 생산량 역대 최고치 기록 (8.7, Kapital.kz)

  • 2025년 상반기 카자흐스탄의 모터 연료 및 디젤 연료 생산량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음. 연료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에너지부는 올 가을 연료 부족 가능성을 경고했음.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기후에너지협력센터 

이전글 (주 카자흐스탄 대사관) 카자흐스탄 석유 제품 수출 제한 관련 명령
다음글 (주 러시아 대사관) 러시아 주요 경제정책 동향(2025.7월 4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