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재외공관


중동 | (주 알제리 대사관) 알제리 경제 및 에너지 동향(2025.11.2.-11.8.)
KOPIA/ 작성일: 25-11-11 08:53
첨부파일 알제리 경제 및 에너지 동향2025.11.2.-11.8..hwp

경제 및 에너지

 

가. 아르캅 장관, 석유수출국기구 및 주요산유국연합체(OPEC+) 회의 참석

 

ㅇ 아르캅(Mohamed Arkab) 탄화수소·광물부 장관은 11.2(일) 석유수출국기구 및 주요산유국연합체(OPEC+) 화상회의에 참가하여 7개 OPEC+ 회원국(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이라크, 카자흐스탄, 쿠웨이트, 오만, 러시아)과 2025.12월부터 13만7천 배럴/일 규모의 원유 증산을 결정하였으며 알제리 증산분은 4천 배럴/일로 결정함.

 

    - 수요가 감소하는 시기에 맞춰 시장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2026.1-3월 기간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증산을 일시 중단하기로 결정

 

    - 아르캅 장관은 이번 결정은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 석유 시장의 균형과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신중하고 조율된 접근이라고 발표

 

나. 아르캅 장관, 아프리카 석유생산국기구(APPO) 장관급 회의 참석

 

ㅇ 아르캅 장관은 11.3(월) 제48차 아프리카 석유생산국기구(APPO) 장관급 회의 참석을 위해 콩고 브라자빌에 방문하였으며 동 회의 계기 Bruno Jean Richard Itoua 콩고 석유부 장관을 만나 알제리-콩고 석유·가스 분야 협력 강화 및 양국 관계 심화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특히 2024.5월 브라자빌에서 체결된 소나트락(Sonatrach)社-콩고국영석유회사(SNPC) 간 양해각서(MoU) 후속 논의를 진행함.

 

    - 동 양해각서에 따라 양측은 탐사·생산 분야 공동 투자 및 기술 교류, 정유 및 관련 산업 협력, 천연가스·LNG 가스 및 액화천연가스 부문 개발, 석유화학·LPG 기술지원 및 산업 발전, 탄소 배출 감축 협력, 법적·규제적 프레임워크 마련, 교육·훈련, 보건·안전·환경(HSE) 분야 경험 교류를 진행할 예정

 

    - 양국은 APPO 및 OPEC 등 국제 석유기구 내에서 입장 조율과 협력 강화에 합의하였으며, 아프리카 자원으로부터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실현하기 위한 공동 아프리카 비전을 지지한다고 발표

 

다. 베샤르–틴두프–가라 제빌레트 철교 완공

 

ㅇ 알제리철도투자공사(ANESRIF)는 11.2(일) 알제리의 대형 철도 프로젝트인 베샤르–틴두프–가라 제빌레트(Bechar–Tindouf–Gara Djebilet) 노선의 핵심 구조물 중 하나인 대형 철교 공사가 완전히 완료되었다고 발표하였으며, 예정보다 일찍 마무리된 동 공사는 국내 건설기업들의 기술력과 효율성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함.

 

    - 동 철교는 함마기르–아바들라(Hammaguir–Abadla) 구간에 위치하며, 총 길이 665m로 프로젝트의 주요 공정 중 하나이자 사하라 남서부를 관통해 철광석 광산이 위치한 가라 제빌레트 광산과 북부 철도망을 연결하는 전체 950km 철도 프로젝트의 전략 구간

 

    - ANESRIF측은 국영기업들과 중국 파트너사들이 참여한 공정의 진척 상황을 확인한 후, 인력과 장비 투입을 강화하고 참여 기관 간의 긴밀한 조정을 통해 2025년 말까지 공사 완료 목표를 지킬 것을 당부

 

    - 이어, 메체리아–엘 바야드(Mecheria–El Bayadh) 고속철도(길이 130km)가 곧 개통될 예정이며, 이 노선이 남부와 고원지대 간 철도 연결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발표

 

라. 잔델-하나샤 도로 공식 개통

 

ㅇ 젤라위(Abdelkader Djjellaoui) 공공사업·공공인프라부 장관은 11.2(일) 메데아주에서 제4순환도로 구간 중 10km 구간인 잔델-하나샤(Djendel–Hannacha) 구간 공식 개통식에 참석하였으며, 아인 데플라(Ain-Defla)주의 젠델(Djendel) 지역에서 메데아주의 하나샤(Hannacha) 까지를 연결하는 동 도로는 서부와 중부 지역 간 차량 이동을 크게 단축시키고 지역 사회·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라고 강조함.

 

    - 다음 개통 예정 구간은 12km의 하나샤-부아이슌(Hannacha–Bouaichoune)으로 2026.3월 완공 목표

 

    - 젤라위 장관은 또 다른 대형 인프라 사업인 철도 프로젝트인 크사르엘부카리( Ksar El Boukhari)–쉬파(Chiffa) 노선의 경우 현재 국내 은행들과의 재원 조달을 협의 중이라고 언급 

 

출처: 기후에너지협력센터 

이전글 (주 카자흐스탄 대사관)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11.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