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 | (주 카자흐스탄 대사관)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10.18-10.24) | |
|---|---|
| KOPIA/ 작성일: 25-10-27 08:56 | |
| 첨부파일 |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10.18-10.24.hwp
|
|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10.18-10.24)이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대통령, 기아 신규 자동차 조립공장 가동 승인 (10.21, LS)
2. 알마티에 중앙아시아 최초 한국형 건강검진센터 개원 (10.22, LS)
3. 카자흐스탄, 전력 부족 예상… 신규 발전 용량 도입 필요 (10.21, LS)
* KEGOC (카자흐스탄 전력망 관리 공사, Kazakhstan Electricity Grid Operating Company): 카자흐스탄의 국가 전력망 운영 및 관리 주체. * 조정 가능한 발전 설비 (Maneuverable Capacity): 발전량을 신속하게 조절하여 전력망의 수요 변동이나 신재생 에너지의 간헐적 특성에 대응하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발전 설비 (예: 가스 터빈 발전소, 양수 발전소 등)
4. 코스타나이주, 6,500억 텡게 규모 철강 공장 건설 예정 (10.20, LS)
* 열간압연철 (HBI, Hot Briquetted Iron): 직접환원철(DRI)을 고온에서 압축하여 벽돌 모양으로 만든 고순도 철원. 운송 및 보관이 용이하며, 주로 전기로 등에서 고급강을 생산하기 위한 원료로 사용됨.
5. 카라차가낙 가스 처리 공장 건설, 수십억 달러 투자 필요 (10.22, LS)
* 현대엔지니어링은 카자흐스탄 카라차가낙 가스 처리 공장(GPP) 프로젝트의 주계약자로 참여중임 - 카라차가낙 유전 운영사인 Karachaganak Petroleum Operating (KPO)가 추진 중인 GPP 프로젝트는 현대엔지니어링이 Sicim Kazakhstan과 함께 EPC 컨소시엄 주도사로 선정되었음. - KPO는 쉘(Shell), 에니(Eni), 셰브론(Chevron), 루코일(Lukoil), 카즈무나이가스(KazMunayGas) 등으로 구성된 합작투자사. * 습성 가스 (Wet Gas): 천연가스 중에서 주성분인 메탄(C1) 외에 에탄(C2), 프로판(C3), 부탄(C4) 등 액화하기 쉬운 무거운 탄화수소 성분(NGL, 천연가스액)과 유황 등 불순물을 많이 포함한 가스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기후에너지협력센터 |
|
| 이전글 | (주 카자흐스탄 대사관)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10.11-10.17) |
| 다음글 | (주 투르크메니스탄 대사관) 투르크메니스탄 최근 주요 경제, 에너지·자원 동향(25.9.27.-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