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재외공관


아시아 | (주 중국 대사관) 글로벌 기후 거버넌스에서의 중국의 역할에 대한 중국 정부 입장
KOPIA/ 작성일: 25-01-24 09:20

○ 중국 외교부 Guo Jiakun 대변인은 1.16(목) 정례 브리핑에서 다음과 같은 글로벌 기후 거버넌스에서 중국의 역할에 관한 질문에 대해 입장을 발표함.

 

○ 중국 현지 언론 신화사는 최근 중국이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사무국에 제1차 격년 투명성보고서 및 제4차 격년 갱신보고서를 제출하였고, 두 보고서가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실현, 기후 완화 정책 시행, 배출량 감축 등 기후 대응에 대한 중국의 성과를 개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하면서, 최근 몇 년 동안 글로벌 기후 거버넌스에서 중국의 역할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질의함.

 

○ 이에 Guo Jiakun 대변인은 기후변화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며, 중국은 기후 대응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바, UNFCCC 첫 번째 당사국 중 하나이자 파리협정에 서명하고 비준한 최초의 국가 중 하나라고 하면서, 중국이 제출한 두 개의 보고서가 정보공유에 대한 투명성과 전문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기후 거버넌스에 대한 중국의 정책, 조치, 결과 및 경험의 다양한 측면을 보여준다고 함.

- 아울러, 금번 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글로벌 기후 거버넌스에 깊이 관여하려는 중국의 결의와 행동을 엿 볼 수 있으며, 중국은 녹색발전 추진을 중단한 적이 없다고 설명

- 특히,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GDP 단위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05년(NDC의 기준 연도) 대비 50.9% 감소했으며, 공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중국에 설치된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은 사상 처음으로 화력발전 용량을 초과하였다고 부언

- 중국은 글로벌 저탄소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진행했으며, 2023년에만 중국이 수출한 풍력 및 태양광 제품이 관련국들의 8.1억 톤 규모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데 기여했다고 하면서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 대응을 필요로 하는바, 중국은 공통적이지만 차별화된 책임의 원칙을 견지하고 진정한 다자주의를 실천하며, 우리가 고향이라고 부르는 푸른 행성을 보호하는 녹색 발전을 촉진하는데 각 국과 협력할 것이라고 설명.


출처 : 기후에너지협력센터

이전글 (주 휴스턴 총영사관) Global Energy Weekly Briefing(2025.1월 3주차)
다음글 (주 아제르바이잔 대사관) 아제르바이잔-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그린에너지 회랑 합작법인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