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재외공관


중동 | (주 아랍에미리트 대사관) 아부다비 지속가능성 주간(ADSW) 계기 UAE 신재생에너지 및 기후변화 관련 정책 및 국제협력 동…
KOPIA/ 작성일: 25-02-04 09:51

​○ UAE는 1.12(일)-18(토)간 아부다비 ADNEC에서 '2025년도 아부다비 지속가능성 주간(Abu Dhabi Sustainability Week 2025)' 행사를 개최하고, 동 행사 계기에 신재생에너지 및 기후변화 관련 정책을 발표하고, 관련 내용의 국제협력을 다음과 같이 추진함.

 

○ 모하메드 UAE 대통령은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 △에디 라마 알바니아 총리와 1.15(수) GW 규모의 알바니아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착수와 태양광·풍력 및 잠재적 배터리 저장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솔루션을 개발하여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 인프라 협력을 강화하는 전략적 3자 파트너십을 체결함.

 

○ UAE 에너지·인프라부는 1.16(목) 국제 수소 및 연료 전지 경제 협력체(International Partnership for Hydrogen and Fuel Cells in the Economy, IPHE)와 협력하여 수소 생산 지속가능성을 지원하기 위한 법안 및 정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발표함.

 

○ 아부다비 에너지청은 1.16(목) 에너지 수요반응* 프로젝트의 2단계 시작을 공식 선언했고, ‘아부다비 에너지·물 효율성 전략 2030(Energy and Water Efficiency Strategy 2030)’에 따라, 2030년까지 200MW의 수요반응 용량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설정함.

  * 전기소비자가 유인동기(전기소비 절감에 따른 인센티브, 시간대별 전기요급제도 등)에 반응하여 자신의 평상 시 소비패턴으로부터 전기사용량 수준을 변경하는 것

 

○ UAE 경제부 주도의 NextGen FDI 이니셔티브*는 1.17(금) 유럽 사모펀드 Climate First社와 청정에너지와 산업 탈탄소화의 미래를 형성하기 위한 기후 기술 생태계 파트너십을 맺음.

  * UAE에 전 세계 디지털 기반 비즈니스를 유치하기 위해 2022.7월 출범한 국가 이니셔티브로 시장진입을 위해 기업에게 필요한 다양한 지원(라이선스 발급 가속화, 임대 인센티브 등) 제공


출처 : 기후에너지협력센터

이전글 (주 카자흐스탄 대사관)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1.25-1.31)
다음글 (주 이라크 대사관) 경제 동향(1.2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