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 (주 이라크 대사관) 경제 동향(4.6~4.10) | |
---|---|
KOPIA/ 작성일: 25-04-14 08:56 | |
ㅇ (이라크 자본의 87% 은행 밖에서 관리) 시아만드 셰크하(Shekha) 이라크 경제 및 금융 분야의 전문가는 4.7. 언론 BasNews를 통해 이라크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신으로 자본의 87%가 은행 밖에서 관리되고 있다고 언급함.
- 동 전문가는 이라크의 정치적 불안성, 종파적 갈등, 테러, 달러 및 디나르의 유동성 등에서 파생되는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신으로 다수의 국민들이 은행에 돈을 예치하기 보다는 자체적인 자산 관리를 선택한 결과라고 밝히며, 특히 지방에서 금융 시스템에 접근하기 어렵다는 점이 동 사안의 심각성을 가중시킨다고 부언함.
- 이와 관련, 총리 경제 자문관은 109조 중 약 95조가 은행 밖에서 관리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언급한 바 있음.
ㅇ (이라크 태양광 에너지 프로젝트 관련) 언론 INA는 4.5. 국가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팀이 금년 여름에 진행 예정인 태양광 에너지 프로젝트에 150여 개의 기업이 관심을 표명했다고 보도함.
- 이라크 정부는 추가적인 비용 없이 시민들이 태양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기 위해 고심 중이며, 스마트 계량기를 사용하는 수요 관리 장치에 중점을 두고 정부 예산이 아닌 투자금 기반의 프로젝트를 시행 예정임.
- 동 프로젝트팀의 수장인 나시르 카림(Karim)은 이라크는 북아프리카 국가들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의 풍부한 일조량을 자랑하여 시간당 연간 최대 2,000 킬로와트의 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고 부언함. ㅇ (미국 무역 사절단 바그다드 방문) 주이라크 미국대사관은 4.7. 언론 INA를 통해 60개의 업체로 이루어진 무역 사절단이 바그다드를 방문했다고 밝히며, 방문하는 동안 미 상공회의소와 이라크 상공회의소가 민간 분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양해각서를 체결할 예정이라고 발표함.
- 스티브 루테스(Lutes) 미 상공회의소 대표는 에너지, 기술, 보건 관련 60개 업체를 선정해 대표단을 구성하였으며, 이는 상공회의소 역사상 이라크를 방문한 가장 큰 규모라고 언급함. ㅇ (에너지 안정화 위한 이라크-중국 공동 연구소 설립) 언론 China Daily는 4.7. 이라크의 바그다드 대학과 중국의 우한 대학이 스마트 소규모 전력망(microgrid) 및 에너지 저장 관련 연구를 위한 공동 연구소를 설립할 것에 합의했다고 보도함.
- 바그다드 대학은 동 연구소 설립을 위해 부지 천 평방미터를 배정하였으며, 바그다드 대학의 이자트 라셰드(Rashed) 교수는 이라크가 열약한 전력망 인프라로 전력 생산과 수요 사이에 균형을 맞추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동 연구소가 이라크의 전력 위기를 해결하고 탄소 배출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고 밝힘.
ㅇ (벨기에 SOLTECH 社 이라크 방문) 언론 Shafaq News는 4.7. 벨기에의 태양광 업체 SOLTECH 社가 재생 에너지 분야에서 이라크 및 쿠르드 지역에서의 투자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아르빌에서 지역 에너지 회사 및 관계자와 면담(B2B 방식)을 진행했다고 보도함.
- SOLTECH 社 대표단은 아르빌 상공회의소 대표단과 만나 재생 에너지로의 조속한 전환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며, 특히 태양 에너지로의 전환을 지원하는 차원에서 이라크와 이미 협정을 체결한 사실에 대해 언급하며 낙관적인 입장을 표명함.
ㅇ (이라크 밀 생산 첫 과잉생산) 모하메드 알 카자이(Al-Khazai) 농업부 대변인은 4.6. 640만 톤의 밀을 수확하여 이라크 역사상 처음으로 과잉생산을 기록했다고 발표함.
- 동 대변인은 이라크가 다수의 국가에 13가지의 작물을 수출하고 있으며, 현지 및 외국 기업과 협약을 체결하여 13,000대 이상의 스프링클러를 확보 및 현대적인 관개 기술 시스템으로 전환하여 농업 부문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부언함.
- 한편, 무역부 장관은 지난 3월 이라크가 일정 보유량을 유지하기 위해 미국, 캐나다, 호주에서 밀을 수입해왔으나, 최근 몇 년간 국내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이전과 같이 수입할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음.
출처 : 기후에너지협력센터 |
|
이전글 | (주 투르크메니스탄 대사관) 대(對)중국 파이프라인 가스 수출 동향 |
다음글 | (주 아제르바이잔 대사관) 주재국내 주요입찰정보(2025.3.17-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