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 (주 알제리 대사관) 알제리 경제 및 에너지 동향(2025.4.27.-5.3.) | |
---|---|
KOPIA/ 작성일: 25-05-09 09:03 | |
경제 및 에너지
가. 아르캅 장관 일정 관련
ㅇ 4.28(월) 아르캅(Mohamed Arkab) 에너지·광물·신재생에너지부 장관은 Swati Vijay Kulkarni 주알제리 인도 대사를 만나 에너지, 광업, 재생에너지 분야를 포함한 양국 간 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였으며 특히 해수 담수화 분야 협력 가능성을 검토함.
- 아르캅 장관은 알제리의 석유가스 탐사 및 생산, 에너지 인프라 개발, 공학, 석유가스 장비 산업 현지화, 석유가스 제품 유통 등 다양한 분야의 투자 기회를 소개하였으며, 석유화학(비료 생산 및 인광석 가공), 재생에너지, 전력망 강화, 전기 장비 제조 분야의 전략 프로젝트에 인도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한다고 발표
ㅇ 4.29(화) 아르캅 장관은 Robin Lynn Wettlaufer 주알제리 캐나다 대사를 만나 에너지, 광업, 재생에너지 분야 양국 협력 강화 및 투자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특히 풍력, 에너지 저장, 그린 수소, 기술 이전, 인력 양성 분야 공동 프로젝트 가능성을 검토함.
- 아르캅 장관은 알제리의 새로운 투자·광업·석유 관련 법을 소개하며 캐나다 기업들의 적극적인 알제리 진출을 촉구하였으며, 캐나다의 선진 광업 기술 및 전략 광물 분야의 전문성 공유의 중요성을 강조
- 캐나다 대사는 양국 관계에 만족감을 표하며 캐나다 시장에서 열릴 경제·투자 포럼에 알제리의 참여를 권유하고 에너지 및 광업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자는 뜻을 전달
나. 알제리-중국 협력 관련
ㅇ 4.26(토) 아르캅 장관은 Wang Yong 중국 국영 원자력공사(CNNC) 회장과 알제리 방사성 동위원소 현지 생산 프로젝트에 대해 아래와 같이 논의하였음.
- 아르캅 장관은 암 치료 및 방사선 치료 등에 필요한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 생산은 국가 보건 안보에 중요한 전략적 프로젝트로, 관련 프로젝트에 국내 인력 참여확대, 연구 개발 협력 강화, 기술 이전 및 전문 인력 양성 및 과학기술 진보를 반영한 지속적 협력 확대를 강조
- Wang Yong CNNC 회장은 중국측은 알제리를 전폭적으로 지원할 준비가 되었으며 알제리의 인프라, 전문 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고 언급
ㅇ 4.27(일) 알제리 국영 금속 제품 가공 전문기업 Anabib社와 중국 기업 Dauphine d'Or社는 금형, 금속 지지대 제조 및 아연도금 분야에서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함.
다. 현대자동차, 알제리 자동차 생산 공장 설립 관련
ㅇ 4.30(수) 알제리 일간지 L'algerie aujourd'hui는 현대자동차가 오만 자동차 기업인 Saud Bahwan 그룹과 합작하여 알제리에 4억 달러 투자 규모의 자동차 생산 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라고 밝혔음.
- 현대자동차측은 알제리 정부로부터 공장 설립을 위한 임시 승인을 획득하여 현재 공장 부지 선정 단계에 있으며, 정부는 AAPI를 통해 부지를 제안할 예정
- 자동차 생산 공장은 총 5~6개 모델을 생산 예정이며, 승용차 3종, 상용차 2종이며 전기차 모델도 고려 중
- 현대자동차는 2024.10월 신차 판매 딜러 승인 신청을 완료한 후, 2025년 공장 가동을 목표로 알제리 산업부 및 AAPI와 여러 차례 협의 진행 중
라. 2024-2030 관광 액션플랜 발표
ㅇ 4.29(화) 메다히(Houria Meddahi) 관광·수공예부 장관은 알제리 관광 매력도 향상을 위한 2024-2030 관광 액션플랜을 하원 관광·통신·문화 위원회 회의에서 발표하였으며 내용은 아래와 같음.
- 문화·역사·종교적 가치가 있는 남부 지역의 우수 관광지 개발, 해안·산악·온천 관광 개발, 자연공원 및 습지 관광활동 지원, 해안 14개 주(윌라야) 관광 확장 지대 정비를 통한 투자 프로젝트 추진
- 각 주에 최소 두 개의 온천 시설 구축, 산악 지역 정비 및 숙박 인프라 투자 장려 방안 포함
- 사하라 관광지 등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인프라가 충분한바,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모험 및 탐험 관광 수요에 대응해 사하라 관광 개발 계획도 마련
- 10개 신규 관광지 개발과 토지 정비를 통해 관광용 부지를 확보하였으며 현재까지 170개의 관광 개발 계획이 승인, 20개의 관광 확장 지대가 정비되었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인력 양성을 위해 직업훈련교육부와의 협력하여 관광 분야 인력 교육도 계속 추진 예정
출처 : 기후에너지협력센터 |
|
이전글 | (주 휴스턴 총영사관) 기후·에너지 포커스[25-05호] |
다음글 | (주 휴스턴 총영사관) Global Energy Weekly Briefing(2025.5월 1주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