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재외공관


아시아 | (주 카자흐스탄 대사관)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11.8-11.14)
KOPIA/ 작성일: 25-11-17 08:55
첨부파일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11.8-11.14.hwp

카자흐스탄 에너지·자원과 인프라 관련 동향 (2025.11.8-11.14)이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카자흐스탄, 메이저 석유기업들과 생산물분배계약 재협상 진행 (11.13, Kursiv.media)

  • 미국 석유·가스 기업 Chevron이 카자흐스탄 최대 유전인 텡기즈에서 2025년부터 2030년까지 280억 달러의 자유 현금 흐름을 확보할 것으로 Rystad Energy가 전망함. 카자흐스탄의 텡기즈, 카샤간, 카라차가낙 광구*는 다수의 글로벌 석유기업들에게 핵심적인 수익원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카자흐스탄 정부는 2033년~2041년 사이에 만료되는 주요 생산물 분배 계약(PSA)* 연장을 자국에 더욱 유리한 조건으로 추진 중임.

     텡기즈(Tengiz), 카샤간(Kashagan), 카라차가낙(Karachaganak): 카자흐스탄에 위치한 대규모 석유 및 가스전으로, 특히 텡기즈와 카샤간은 세계적인 규모로 평가됨.

     * 생산물 분배 계약(Production Sharing Agreement, PSA): 석유나 가스 개발 시, 외국인 투자자와 자원 보유국 정부가 생산된 석유나 가스를 사전에 합의된 비율대로 분배하는 계약 방식임.

 

2. 대형 튀르키예 건설사, 알라타우 신도시 건설 참여 희망 (11.13, Kursiv.media)

  • 튀르키예의 주요 디벨로퍼인 Nata Holding의 회장 나믹 타닉이 카자흐스탄 알마티주에 조성되는 신도시 알라타우(Alatau) 건설에 참여할 의향을 표명함. 카자흐스탄 정부가 투자 유치와 혁신 거점화를 목표로 신설한 알라타우는 특별 법적 지위를 부여받았으며, 튀르키예 건설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국제적 수준의 품질 및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 기준을 도입하고 투자를 유치할 계획임.

3. 카자흐스탄, 중앙아 지역내 가장 낮은 유료비 유지 (11.12, LS)

  • 카자흐스탄 정부는 AI-92 휘발유와 경유 가격 인상을 일시적으로 금지하는 조치를 통해 인근 국가들에 비해 최대 111% 낮은 수준의 연료 가격을 유지하고 있지만, 에너지부는 이러한 저가 정책이 석유 및 가스 산업의 투자 매력도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저해하고, 비공식적인 역외 유출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가격 자유화가 궁극적으로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힘.

4. 카자흐스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국가표준 채택 (11.10, Kapital.kz)

  • 카자흐스탄 무역통합부 산하 'KazStandard'는 ISO 14068-1 및 IWA 42와 동일한 두 가지 새로운 국가 표준을 채택하여, 2060년까지의 탄소중립 달성 전략 실행에 중요한 단계를 밟음. 이 표준들은 배출량 평가, 감축, 잔여 배출량 상쇄 및 기후 보고를 포함한 온실가스 배출 관리에 대한 통일된 접근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국가의 글로벌 기후 정책 역할을 강화하고 국내 기업들의 국제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임.

5. 광업법 개정으로 미납 기업들에 대한 지질 탐사권 거부 예정 (11.12, Kursiv)

  • 카자흐스탄 산업건설부가 광업법 개정안을 통해 경매에서 낙찰 후 서명 보너스*를 미납한 기업들과 관련 소유주에게 5년간 광물 탐사 라이선스 발급 및 제3자로부터의 채굴권 획득을 거부하는 규정을 도입할 예정임.

     서명 보너스 (Подписной бонус): 광물자원 탐사 및 채굴 계약(라이선스) 체결 시, 계약 당사자가 국가에 일회성으로 납부하는 금액. 일종의 계약금 성격임.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기후에너지협력센터 

이전글 (주 투르크메니스탄 대사관) 투르크메니스탄 최근 주요 경제, 에너지·자원 동향(25.10.25.-11.11.)
다음글 (주 알제리 대사관) 알제리 경제 및 에너지 동향(2025.11.9.-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