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KOTRA


(요르단 암만 무역관) 과거 5년 한국 - 요르단 수출입 동향과 시사점
KOPIA/ 작성일: 25-04-02 09:15

요르단 2024년 수출입 개요

요르단 통계청에 따르면 2024년 요르단의 대 세계 수출액은 121억 달러로 2023년 116억 달러에 비해 4.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요르단의 수입은 270억 달러로 전년 258억 달러 대비 4.5% 증가하여 무역 적자를 기록했다. 무역적자폭도 전년 142억 달러 대비 2024년에는 148억 달러로 소폭 증가하였다.

요르단은 지속적으로 수입이 수출보다 많아 왔다. 2024년 전체 요르단의 주요 수입국가 중 한국은 14위를 기록했다. 요르단은 한국으로부터 약 5억 달러를 수입했으며, 이는 전체 수입금액 중 1.84%의 비중을 차지한다. 요르단에 가장 많은 금액을 수입하는 국가는 중국 (51억 7천만 달러, 19.1%)이며, 사우디아라비아(41억 달러, 15.24%,), 미국(18억 8천만 달러, 6.96%)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한국이 요르단에 주로 수출하는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의 경우 요르단의 대 세계 수입이 15.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대 요르단 수출입 동향 (2021~2024년)

한국과 요르단은 1962년 7월 26일 정식 외교 관계를 맺으면서 양국 간 무역과 협력의 토대를 마련했다. 수십 년 동안 한국은 요르단에 다양한 상품을 수출하고 있으며, 자동차, 전자제품, 기계, 석유화학, 섬유가 주요 수출품목이다.

 

<2020~2024년 한국-요르단 간 수출입 추이>

                                                                                                (단위 : 천 USD, %)

 

연도 

 
 

한국의 대 요르단 수출 

 
 

한국의 대 요르단 수입 

 
 

무역 수지 

 
 

금액 

 
 

전년대비 증감 

 
 

금액 

 
 

전년대비 증감 

 
 

2020

 
 

496,686

 
 

-11.6

 
 

83,990

 
 

-11.0

 
 

385,696

 
 

2021 

 
 

668,911 

 
 

42.4 

 
 

106,807 

 
 

27.2 

 
 

562,104 

 
 

2022 

 
 

821,769 

 
 

22.9 

 
 

146,173 

 
 

36.9 

 
 

675,595 

 
 

2023 

 
 

758,796 

 
 

-7.7 

 
 

62,652 

 
 

-57.1 

 
 

696,144 

 
 

2024 

 
 

546,846 

 
 

-27.9 

 
 

77,930 

 
 

24.4 

 
 

468,916 

 

[자료: 한국 관세청]

 

<2020~2024년 한국-요르단 간 수출입 변화>

[자료: 한국 관세청]

 

2020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과 요르단 간의 수출입 금액을 보면 대체적으로 2022년을 정점으로 수출과 수입금액이 하락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국의 대 요르단 수출은 2022년 약 8억 2,180만 달러로 정점을 찍은 후 2024년 5억 4,680만 달러로 감소하였다. 요르단에서 한국으로의 수입은 특히 변동이 심해 2023년은 6,265만 달러로 전년대비 57.1% 급감했지만 2024년에는 7,783만 달러로 2023년 대비 24.4% 증가했다. 2024년에 한국은 4억 6,890만 달러의 무역 수지 흑자를 기록하며 대 요르단 무역 흑자 추세를 꾸준히 유지했다.

 

지난 5년 동안 한국의 대 요르단 수출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 요르단 수출 성장세를 나타내다가 감소세를 보인 제품들: 주로 자동차

1,500cc 이상 휘발유 자동차(MTI: 741160): 2020년 1억 1,853만 달러에서 2023년 2억 853만 달러로 증가했다가 2024년 2억 454만 달러로 2023년 대비 소폭(-3.9%) 하락.1,500cc 미만 휘발유 자동차(MTI: 741150): 2020년 2,717만 달러에서 2022년 4,713만 달러까지 증가했다가 2024년에는 562만 달러로 전년 2,049만 달러대비 -72.6% 급감.하이브리드 자동차(MTI: 741910): 2023년에 6,835만 달러로 정점을 찍었지만 2024년에는 4,318만 달러로 -36.8% 하락.2,500cc 미만 디젤 자동차(MTI: 741170): 2020년 6,981만 달러에서 2021년 2억 1,791만 달러로 급증했지만 2024년에는 3,256만 달러로 전년 1억 4,054만 달러 대비 -76.8% 급감.전기 자동차(MTI: 741400): 2020년 753만 달러에서 2023년 7,550만 달러로 급증했다가 2024년 2,510만 달러로 전년대비 -66.8% 급감.니트 직물(MTI: 436000): 2020년 987만 달러에서 2022년 1,311만 달러로 증가했다가 2024년에는 804만 달러로 전년대비 다소 (-16.1%) 감소.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거나 수출액이 지속 유지되고 있는 제품

기타 석유화학 제품(MTI: 219000): 2020년 546만 달러에서 2024년 2,845만 달러로 꾸준히 증가했으며, 2024년에는 전년대비 49.6%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기타 화물 자동차(MTI: 741290): 2022년 6,647만 달러 수출, 2024년에는 6,812만 달러로 전년대비 +14.2% 증가.의약품(MTI: 226200): 2020년 2,442만 달러에서 2024년 2,540만 달러로 꾸준히 2천만 달러 이상 수출 (2021년 제외).자동차 부품(MTI: 742000): 대부분 안정세를 유지하며 2024년 2,238만 달러로 전년 수준의 수출을 유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의 대 요르단 수출은 몇 가지 뚜렷한 추세를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는 2022년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로는 수출세가 감소한다. 특히 2,500cc 미만 디젤 자동차의 감소세가 두드러진다. 반면 석유화학 제품 및 의약품과 같은 비자동차 부문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으며, 특히 석유화학 제품이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자동차 뿐 아니라 산업, 제약 및 화학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양국 간의 수출품목도 다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2020~2024년 한국에서 요르단으로 수출 상위 10대 품목 >

                                                                                                                                                                            단위: USD

MTI 코드 

제품 

2020 

2021 

2022 

2023 

2024 

2024년 전년대비 증감(%) 

741160

1,500cc 이상 휘발유 자동차 

118,528,043

136,346,932

185,268,027

208,534,345

200,454,365

-3.9

741290

기타 화물 자동차 

-

-

66,469,861

59,654,450

68,120,004

14.2

741910

하이브리드 자동차 

-

-

49,415,489

68,345,087

43,184,528

-36.8

741170

2,500cc미만 디젤 자동차 

69,813,640

217,909,470

214,448,324

140,541,590

32,561,561

-76.8

219000

기타 석유화학 제품 

5,456,076

7,705,836

6,156,188

19,016,359

28,445,427

49.6

226200

의약품 

24,420,675

12,666,164

23,159,357

24,637,771

25,408,342

3.1

741400

전기 자동차 

7,527,350

16,874,066

63,348,281

75,508,800

25,101,895

-66.8

742000

자동차 부품 

20,443,466

20,931,575

26,430,412

22,516,666

22,382,245

-0.6

436000

니트 직물 

9,869,105

17,208,795

13,107,398

9,582,333

8,037,261

-16.1

741150

1,500cc 미만 휘발유 자동차 

27,172,201

39,402,735

47,133,937

20,489,554

5,621,954

-72.6

[자료: 한국 관세청]


2020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의 대 요르단 수입도 변화를 보였다. 의약품, 의류 (여성용 바지 및 스커트)는 동 기간 중 수입이 큰 폭으로 성장한 것을 알 수 있다. 수입품목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구리 스크랩은 2021년 전년대비 수입액이 2배 이상 성장 한 후 2023년을 제외하고는 꾸준하게 2천만 달러선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이 증가 혹은 추세를 유지하는 품목들

구리 스크랩(MTI: 622130): 2020년 1,262만 달러에서 2021년 2,810만 달러로 큰 폭으로 증가한 이후 2천만 달러 이상의 수입 유지 (2023년 제외)의약품(MTI: 226200): 2020년 4.3만 달러에서 2024년 234만 달러로 폭으로 증가.여성용 바지 및 스커트(MTI: 441208): 5.7만달러에서 90.4만달러로 대폭 증가.알루미늄 스크랩(MTI: 621120): 2020년 250만 달러에서 2021년 1,004만 달러로 폭증한 이후 7백~1천만 달러 수준을 유지.

 

수입이 감소한 품목

기타 석유화학 제품(MTI: 219000): 2020년 4,669만 달러에서 2021년 7,601만 달러까지 증가한 이후 2023년에는 2,437만 달러로 감소. 2024년도 유사한 규모의 수입 실적 나타냄.기타 정밀 화학 원료 (MTI: 228900): 2020년 576만 달러에서 2024년 269만 달러까지 점진적으로 감소

 

< 2020~2024년 요르단에서 한국으로 수입되는 상위 10대 품목 > 

                                                                                                                                                            단위: USD

MTI 코드 

제품 

2020 

2021 

2022 

2023 

2024 

2024년 전년대비 증감(%) 

622130 

구리 스크랩 

12,621,649 

28,101,856 

24,919,407 

12,786,889 

25,199,954 

97.1 

219000 

기타 석유화학 제품 

46,689,109 

41,110,399 

76,014,957 

24,370,262 

23,993,367 

-1.5 

621120 

알루미늄 스크랩 

2,499,474 

10,038,513 

7,227,115 

7,787,989 

12,033,155 

54.5 

228900 

기타 정밀 화학 원료 

5,761,463 

4,296,248 

3,710,376 

3,523,204 

2,686,829 

-23.7 

226200 

의약품 

42,990 

60,877 

418,866 

232,120 

2,336,066 

906.4 

119090 

기타 금속 광물 

- 

- 

13,002,582 

2,418,463 

2,008,870 

-16.9 

441104 

바지 및 스커트 

1,098,493 

3,022,551 

2,098,505 

2,068,203 

1,624,271 

-21.5 

441109 

속옷 

1,477,854 

2,326,255 

1,265,364 

1,727,462 

1,215,883 

-29.6 

441108 

스웨터 

946,307 

2,746,628 

1,807,132 

1,120,180 

966,850 

-13.7 

441208 

여성용 바지와 스커트 

56,732 

53,885 

155,666 

81,442 

904,175 

1,010.2 

[자료: 한국 관세청]


-요르단 수출입 주요 품목 분석


1)    자동차 (한국의 대 요르단 수출 상위품목)

< 2020~2024년 한국의 대 요르단 자동차 수출 동향>

                                                                                                                단위: 백만 USD

[자료: 한국 관세청]


한국은 자동차 수출이 전통적인 대 요르단 수출품목 이었다. 대 요르단 자동차 수출은 2022년 정점을 찍고 감소세를 보이는데, 이 중에는 2,500cc 미만 디젤 자동차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동 품목의 대 요르단 수출금액은 2022년 2억 1천만 달러에서 2023년에는 1억 4천만 달러 수준으로 감소하고, 2024년에는 3천만 달러 수준으로 급감한다. 한국의 대 요르단 수출 총액이 2022년 8억 2천만 달러 수준에서 2023년에는 7억 5천만 달러 수준으로 줄어들고, 2024년에는 5억 4천만 달러 수준으로 줄어드는데 2,500cc 미만 디젤 차량의 감소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2,500cc 미만 디젤 차량 수출 감소에는 요르단 전기차 세제개편으로 인한 전기차 보급 확대가 원인 중 하나인 것으로 보인다. 2020년부터 2024년 8월까지 요르단 정부가 전기차 구입시 대폭적인 세금 혜택을 주었고 승용차 뿐 아니라 소형 화물 차량도 전기차로 많이 바뀌었다. 참고로 요르단은 디젤 승용차의 수입은 금지하고 있다.

<2020~2027년 요르단 자동차 세금 정책 총괄표>

구분 

2020년 ~2024년 8월

2024년 9월~11월

2024년 12월 한시적 완화

2025년

2026년

2027년

전기차 

JOD 10,000 (USD 14,100) 이하

 

 

 

250kW 

 이하 10%,

 

 

 

251kW 

이상 15%

 

10%

10%

12%

15%

JOD 10,000 (USD 14,100) 초과 JOD 25,000 (USD 35,250) 이하

40%

20%

30%

35%

40%

 

JOD 25,000

 

(USD 35,250) 초과

 

55%

27.5%

40%

45%

55%

하이브리드차 (5년 미만)

55%

60%

60%

60%

60%

휘발유차 (5년 미만)

83%

70%

70%

70%

70%

[자료: 요르단 자유무역지역투자위원회(JFZIC)]


전반적인 한국산 자동차의 수출이 2024년 전년대비 감소한 것은 요르단 수입/수출항구인 아카바 항만을 통한 물류비용의 인상도 어느정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홍해의 혼란과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최대 800%까지 상승한 운송 비용으로 인해 많은 무역업체들이 비용 절감을 위해 UAE의 제벨 알리 항구 등으로 운송 경로를 변경했다. 예를 들어, UAE 제벨 알리를 통해 자동차를 운송하는 비용은 약 1,300달러인데 비해 아카바를 경유하는 비용은 2,300달러였다. 이렇게 제3국을 통해 우회 수입된 차량은 요르단 수입 통계에 완전히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    의약품  (한국의 대 요르단 수입 상위품목)

2020년부터 한-요르단 무역 동향 중, 자동차 외에 눈에 띄는 부분은 한국의 요르단산 의약품 수입액 변화이다. 의약품 수입액은 2020년 4.29만 달러에서 2024년 233만 달러로 폭으로 증가한다.

요르단은 과거부터 중동의 의료, 제약 중심지로 인정받고 있었다. 요르단 제약 산업은 요르단 경제의 중요한 부분으로, 요르단 전체 GDP의 9%를 차지한다. 요르단 식품의약처(Jordan Food & Drug Administration)에 따르면 요르단 내에는 총 29개의 제약 공장이 소재하고 있으며 이곳에서 481종의 의약품이 생산되어 72개국에 수출하고 있다. 요르단 정부는 아래와 같은 프로젝트를 통해 제약 산업을 더욱 발전시키고자 한다.

2024-2028 산업 정책: 제약 산업 부문 경쟁력 강화 로드맵 제시연구 개발 지원: 특허 취득 지원, 대학에 제약 연구 센터를 설립제도 개선: 의약품 검사 절차를 국제 표준에 맞게 업그레이드하고 ISO 17025 인증 획득 추진글로벌 파트너십: 요르단을 지역 제약 허브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국제금융공사(IFC)와 협력하여 투자 강화

 

한국으로 수출 품목에 대한 세부 정보는 확인이 어려웠지만 요르단 최대 제약사 Hikma는 2023년 국내 대형 제약사와 암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제품의 공급 계약을 맺는 등 양국간 의약품 분야 협력의 수요는 있어 왔다. 이번 수출입 통계를 통해 요르단 의약품의 한국 수출이 증가세임을 확인했으니 향후 이 부분에 대해서는 지속 모니터링 및 조사 계획이다.

참고로 기타 석유 화학제품은 한국에서 요르단으로 수출되는 품목 중 하나로 수출액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2024년 요르단에서 한국으로 수출되는 금액도 한국의 요르단 수출과 비슷한 2천만 달러 이상의 규모를 기록했다. 요르단은 화학 원료를 해외에서 수입, 정제, 가공하는 산업이 발달했으며, 이 부분이 양국간 기타 화학제품 수출입 동향에서도 드러난 것으로 보인다.

 

< 2020~2024년 한국의 요르단으로부터 의약품 및 기타 석유화학제품 수입 동향>

                                                                                                                            단위: USD

    

[자료: 한국 관세청]


결론 및 시사점

한국과 요르단 간의 무역 관계는 최근 몇 년 동안 광범위한 경제, 정책, 시장 변화를 반영하며 큰 변화를 겪었다. 특히 수출 상위 품목인 자동차는 2022년까지 수출이 늘어나다가 그 이후는 전반적으로 줄어들었는데, 자동차 부분의 수출 감소가 한-요르단 수출 총액 감소에도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는 요르단의 전기차 세제개편, 홍해 사태로 인한 요르단 아카바 항구 물류비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이 미친 것으로 보인다. 요르단 정부는 2025년 부터 전기차 세제혜택을 차츰 축소하고 전기차 대비 상대적으로 높았던 휘발유차의 세금을 인하할 계획이니 한국산 휘발유차량의 시장 진출 여건은 좋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JOD 10,000 (USD 14,100) 초과 JOD 25,000 (USD 35,250) 이하 전기차도 JOD 25,000 (USD 35,250) 초과 전기차 대비 세금 인상률이 적으므로 이 카테고리의 한국산 전기차에게는 과거보다는 환경이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

수출 품목도 자동차 위주에서 석유화학, 의약품으로 다변화 하는 움직임이 나타난 것도 주목할 만 하다. 이는 자동차 뿐 아니라 다양한 방면으로 양국간의 무역관계가 확대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요르단은 레반트(요르단,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등을 지칭)의 테스트 마켓이자 이 지역에서 분쟁의 영향을 받지 않은 유일한 국가다. 요르단을 레반트 진출을 위한 전초기지로 삼고, 기존 수출 유망품목 뿐 아니라 새로운 분야에서 요르단과 협업 기회를 찾는다면 이 지역 시장 공략에 유리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 요르단 현지 뉴스(The Jordan Times), 요르단 자유무역지역투자위원회(JFZIC), 한국무역협회 K-stat(무역통계), 관련 기업 및 바이어 인터뷰 등 KOTRA 암만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이전글 (인도 뉴델리 무역관) 2025년 인도 진출 기업지원 설명회 개최기
다음글 (베트남 하노이 무역관) 베트남-브라질, 전략적 협력 강화 및 시장경제국 공식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