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웨이트 쿠웨이트무역관) 석유화학 산업 정보 | |
---|---|
KOPIA/ 작성일: 19-11-29 09:34 | |
1. 산업 특성 □ 정책 및 규제 ◦ 쿠웨이트 석유화학 산업 관련 현황 - 쿠웨이트는 세계 6위인 1,060억 배럴의 원유 부존 자원을 보유한 석유 부국으로, 오일·가스 산업이 GDP의 절반 이상을 차지 - 과거 걸프전 당시 제조업 기반이 무너진 후 다시 성장하지 못해, 일반 제조업 비중은 GDP의 6%에 불과하며, 주로 석유화학, 건설자재 분야에 편중되어 있음. - 쿠웨이트 정부는 원유 위주의 경제구조를 다변화하고, 제조업을 비롯한 자국의 다른 산업들을 육성하고자 하는 청사진을 가지고 있음 - 그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인건비, 부족한 기술력 및 노하우, 가혹한 노동환경조건, 작은 내수시장, 외국기업에게 호의적이지 않은 법규 및 시스템 등으로 인하여 중단기 전망은 긍정적이지 않음 - 제조업 육성 정책 및 우대분야 (자유무역지역(Free Trade Zone) 운영 및 확대) - (목표) 50개의 물류창고 운영, 근로자를 위한 공동 식당 운영, 5개의상업은행입주, 제품 판매를 위한 쇼핑몰 등 소규모 제조업이나 물류분야 발전을 위한 자유무역지역 운영 - (우대 분야) 식품, 음료, 경공업 등 분야의 소규모 공장 우대 ◦ 제조업 촉진 지원 기관 (정부유관기관: Public Authority for Industry=PAI) - 1997년 1월 15일 설립된 Minister of Commerce & Industry 산하 기관으로, 쿠웨이트의 지역 산업 개발, 홍보 및 감독업무 수행
□ 정책 금융 지원 현황 ◦ SME Fund - 쿠웨이트 정부는 청년실업 해소와, 민간부분 경제 성장을 위하여 중소기업 발전을 위한 국가 기금(SME 기금)을 설립 (‘13년 4월) - 총 20억 달러 규모이며, 자국민이 창업하는 중소기업에 최대 80%의 자금을 국가에서 무상지원 - 근로자 50인 이하의 중소기업이 대상이며, 최대 지원한도는 KD 500,000 - 제조업 분야 역시 지원 대상이나, 창업비중이 높지는 않음
◦ 쿠웨이트 산업 단지 개황 (개발 연혁) - 영국에서 해방 (1962년)된 이후 1965년부터 산업 개발 시작 - 1996년 쿠웨이트 상공부 산하 산업단지 관리 및 개발 전담부처 (PAI)를 신설하고 산업단지 개발을 본격화함 - 주요 관리 주체 : Public Authority of Industry (PAI=쿠웨이트산업청) ◦ 주요 산업단지 내역 - PAI는 산업다각화를 위한 쿠웨이트의 중장기 개발계획(New Kuwait 2035)을 달성하기 위해 비석유분야 제조업의 육성에 주력 □ 주요 기업 현황 ◦ 주요 업체
◦ KDIPA 단독투자 (Sole Investment) - 2001년 외국인 직접 투자법 제 8조 시행에 따라 특정 경제 활동 및 프로젝트에 대해 100 % 외국인 소유권이 허용 - 외자지분 100% 기업 설립을 위해서는 쿠웨이트 투자진흥청(KDIPA)과 쿠웨이트 상공부의 별도 승인을 취득하여야 함 ◦ 승인요건 - 해당 기업이 쿠웨이트에 진출할 경우 자국 산업의 육성, 양질의 일자리 창출, 기술 이전 등 긍정적인 파급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기업에 한하여 제한적으로 승인 - 쿠웨이트 투자진흥청과 쿠웨이트 상공부에서 심사를 진행하며, 신청 및 승인에 대한 별도의 계량 가이드라인은 미공개 - 2018년 현재 총 27개의 기업들이 승인들 받았으며, 주로 제조 및 프로젝트 분야의 글로벌 기업들의 비중이 높음. ◦ 인센티브 - 10년간 소득세 또는 기타 세금 면제 - 기계장비, 원자재에 대한 수입관세 일부 또는 전액 면제 - 지정된 부동산 혹은 토지 제공 - 외국인 고용 비율 혹은 인건비 관련 지원 등 ◦ 신청절차 ① KDIPA에 프로젝트 제안서 신청 및 검토 (소요시간 3일) ② 승인된 제안서 및 투자자에 한해 투자 허가 신청서 작성 및 검토 (소요시간 30일) ③ 투자제안 쿠웨이트 상공부 이관 및 심사 (소요시간 상이) ④ 투자 허가서 발급 및 KDIPA 투자기업 리스트 등록 (소요시간 1일)
◦ (유의사항) 법률상 단독투자가 가능은 하나 그 요건이 지극히 까다롭고, 현지의 각종 불확실성, 외국기업에 대한 불리한 시스템 등의 문제로 인하여 권장되지 않음 2. 산업의 수급 현황 □ 생산설비 투자 ◦ 유통 구조 및 수출 절차 - 쿠웨이트 수출을 위해서는 쿠웨이트 상공회의소에 관련 내용을 등록해야 하며, 일부 특정 품목이 경우에는 수출허가서 발급이 요구 - 쿠웨이트 세관이 요구하는 수출 통관서류를 준비하여야 하며, 관세율은 세관 웹페이지에서 조회 가능 (일반적으로 5%) - (필수인증취득정보) 정부부처의승인이 필요한 품목의 경우 별도의 허가서를 발급받아야 하며, 품목의 종류에 따라 관련 부처 및 승인요건이 상이하여 별도 확인이 필요 ◦ (유의사항) 통관 절차는 아래와 같은 절차에 따라 진행
- 석유는 쿠웨이트 GDP의 절반, 수출의 95%, 정부재정의 90%를 차지하는 쿠웨이트 최대의 산업으로, 원유생산뿐만 아니라 다양한 석유화학분야 제품들을 제조하여 수출 - 신규 LNG 프로젝트, Al-Zour 프로젝트 등과 같은 많은 프로젝트들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석유산업 관련 신규 설비수요는 증가 할 전망 ◦ 쿠웨이트 석유화학제품 완제품 현지 시장 현황 - (주요 수입품목) 석유, 아스팔트, 플라스틱 관련 기계류의 수입이 많으며, 주요 수입국가는 한국을 비롯한 미국, 중국, 독일 등
1) 단지 개요 - (위치) 쿠웨이트시 남쪽으로 50킬로미터 정도 덜어진 Al-Ahmadi의 항구에 위치 - 주소: Shuaiba Industry, Ahmadi Area, Kuwait
- 쿠웨이트에서 가장 큰 석유화학 산업단지이며, 총 37개 기업 입주 - (유치 업종) 석유화학 분야의 기업들이 가장 많고 종이, 유리 등의 제조업 제품들도 생산 - (입주 현황) 총 37개 기업, 43개 공장이 입주
2) 입지 여건 - (인프라/교통 환경) 쿠웨이트 최대의 산업단지로 석유 관련 기업 밀집 - 항구와 인접하여 수입 및 수출, 물류비 산출에 유리 - 석유화학 분야 기업들이 밀집 3) 산업 환경: 입주기업에 한해 PAI에서 창고 및 산업 용지 제공 가능 4) 관리 기관: PAI (Public Authority for Industry) 5) 입주(투자) 조건 - (제출 서류 및 절차) 쿠웨이트 기업 혹은 GCC 기업에 한해 입주가 가능하며, 국내기업 등 외국기업이 입주 및 공장설립을 희망할 경우 쿠웨이트 기업과의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입주가 가능 - 제출서류: 타당성조사결과, 사업계획서, 지원자 신분증, 장비 및 기계 카달로그, 신청인 혹은 대리인 서명 등 - (세금 혜택) 입주기업에 한해 설비 및 기계 수입 관세 면제 - (자금 지원) 쿠웨이트 산업은행은 하기 조건에 부합하는 쿠웨이트기업을 대상으로 최대 500,000KD까지 무이자 대출을 지원 ① 원료를 들여와 반제품, 혹은 완제품으로 제조하는 산업 분야 ② 기계나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한 공예 분야 ③ 기타 은행이 적합하다고 판단하는 분야 - (기타 인센티브) New Tender Law에 따라 쿠웨이트 공공 프로젝트는 쿠웨이트 제품을 10% 이상 구매하여 사용하여야 함
3. 진출 전략 □ SWOT 분석
◦현지 파트너십 희망 기업/단체 리스트
출처: 쿠웨이트 산업청(Public Authority for Industry), Trade Map, KDIPA, 관세청, IHS Analysis, 쿠웨이트 무역관 조사
|
|
이전글 |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2019.11.26 주요경제지표 |
다음글 |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2019.12.6 주간입찰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