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KOTRA


(카타르 도하무역관) 카타르 에너지 산업
KOPIA/ 작성일: 21-12-17 10:04

 

카타르 에너지 산업
2021-11-30 카타르 도하무역관 양소망

산업 개요


1935년 석유 개발에 착수한 이래 1940년 Dukhan 지역에서 최초로 석유를 발견하고, 1971년에 북부 가스전(North Field)을 발견하면서 2020년 기준 카타르 전체 GDP의 29%를 차지할 만큼 에너지 산업이 국가경제의 근간을 구성하는 제 1의 산업이 되었다.

 

주요 정책


카타르는 에너지 분야 프로젝트에 참가하는 해외기업에 현지조달생산서비스 활용 정도 등 현지진출 조건을 부가하는 현지화 정책 TAWTEEN의 추진을 통해 제조업 기반확대 및 공급망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TAWTEEN 주요 내용

① ICV 제도 현지 재화 및 서비스 활용 정도를 점수화하여 입찰 평가 요소로 활용

② 현지화 유망 6대 분야투자 기회 제공

화학 및 금속엔지니어링 서비스소모 자재 및 유지보수디지털 기술산업 기자재류해양 플랜트 관련 기자재 및 서비스

③ 공급자 육성을 위한 에너지 분야 기업 대상 교육 프로그램 지원

 자료: TAWTEEN

 

주요 이슈

 

QE(Qatar Energy)는 이란의 South Pars 가스전과 공유하고 있는 북부가스전의 급격한 개발에 따른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2005년 자발적인 개발유예를 선언하였으나 호주미국 등 새로운 LNG 수출대국의 등장으로 세계 1위 수출국으로서 입지를 위협받고 있는 가운데안정적인 가스 수출을 위해 2017년 4월 12년간 유지해온 모라토리엄 해제를 발표하였다카타르는 세계 천연가스 생산국 중 가장 낮은 생산단가를 자랑하고 있으며가스전 개발 재개에 따라 최대 가스 수출국으로서의 입지를 굳건히 할 전망이다.


2019년 11월 카타르 국영기업 QE(Qatar Energy)는 북부가스전에서 생산되는 연간 LNG 생산 규모를 7,700만 톤에서 2027년 까지 1억 2,600만 톤으로 확대하는 증산 계획 발표하며 본격적인 LNG 증산을 추진하였다해당 가스전 증산 프로젝트로 인해 향후 프로젝트 참여 기회및 관련 기자재 수요 증가가 전망된다프로젝트 규모는 최대 400억 달러로 총 2단계로 구성되며, 1단계는 4개 패키지로 구성되어 LNG 액화트레인 및 관련 육해상 설비 구축 공사가 진행 중이다.


· (1단계, NFE/North Field East) 2025년까지 LNG 트레인 4개 증설연간 생산량 7,700백만 톤 → 1억 1,000만 톤

· (2단계, NFS/North Field South) 2027년까지 LNG 트레인 2개 증설연간 생산량 1억 1,000만 톤 → 1억 2,600만 톤

  

북부가스전 LNG 증산 프로젝트 1단계 패키지별 주요 내용

(단위: US$ 백만, %)

구분

발주처

프로젝트명

규모

공사 기간

패키지1

QatarGas

LNG Processing Trains

13,000

’21.02’26.12

패키지2

Lean LNG Storage and Loading Expansion

2,000

’21.03’25.03

패키지3

RLTO and Offplot Facility

500

’21.08’25.04

’22.02’25.12

1,000

Sulphur Storage and Export Facilities

패키지4

자료: MEED Proejcts

 

주요 기업

기업명

 소개

홈페이지

QE

(Qatar Energy)

국영 에너지 기업으로 에너지 자원 탐사생산판매 및 수출과 관련한 전 사업단계 총괄

qp.com.qa

QatarGas

QE의 천연가스 분야 자회사로 천연가스, LNG 및 헬륨 생산

www.qatargas.com

North Oil

Al-Shaheen 유전 생산을 위해 설립된 QE(70%)와 프랑스 Total(30%)의 JV

noc.qa

Shell Qatar

GTL 플랜트로 네덜란드 왕립 석유회사(Shell)가 운영

www.shell.com.qa

Total Qatar

프랑스 에너지 기업으로 카타르의 LNG 트레인, Al-Shaheen 유전 등 에너지 분야 사업에 투자

www.total.com/en

Dolphin Energy

카타르 북부가스전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를 UAE, 오만까지  파이프라인으로 수송하기 위해 설립된 기업으로지분은 아부다비 정부(51%), 프랑스 Total(24.5%), 미국 OXY(24.5%)로 구성

www.dolphinenergy.com

자료각 사 홈페이지

 

자원 현황


카타르는 세계 2위 천연가스 수출국이자러시아이란에 이어 세계 천연가스 매장량의 13%를 점유하고 있는 세계 3위 천연가스 보유국이다. 연간 1,713억 m3의 천연가스를 생산하는 세계 5위 가스 생산국이기도 하다. 현재 14개의 LNG 트레인을 통해 연간 7,700만 톤 규모의 LNG를 생산하고 있으며동북아(한국중국일본), 동남아(인도방글라데시태국), 유럽(영국, 스페인, 벨기에, 프랑스 등)으로 공급 중이다. 연간 수출 규모는 1,061억 m3으로 세계 점유율의 21.7%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Al-Shahee, Dukhan, Al-Khaliji 및 Bul Hanine 등 총 9개 유전에 252억 배럴 규모의 원유 매장량 보유하고 있는 세계 14위 원유 보유국으로 일일 180.9만 배럴 규모로 생산 중이다.

 

(가스전 및 유전 현황, () LNG 트레인 현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mem0000638c000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69pixel, 세로 455pixel

자료: Qatar Petroleum, Fitch Solution, BMI  

 

카타르 에너지 자원 매장량 및 생산량(2020)

구분

매장량

생산량

규모

점유율

순위

규모

점유율

순위

천연가스

24.7조 m3

13.1%

3

1,713억 m3//

4.5%

5

원유

252억 배럴

1.5%

14

180.9만 배럴/

2.0%

14

자료: BP(British Petroleum)

 

수출 현황


천연가스원유 등 에너지 자원의 수출이 전체 수출의 78% 차지하고 있으며나머지 22%는 대부분 휘발유 및 등유에틸렌질소비료 등 석유화학 제품과 알루미늄철강제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타르의 주요 수출품목(2020)

(단위: US$ 백만)

연번

HS코드

품목명

금액

비중

1

2711

천연가스

31,633

64%

2

2709

석유와 역청유(원유)

7,254

14%

3

2710

석유와 역청유(원유 제외)

3,251

6%

4

3901

에틸렌

1,794

3%

5

3102

질소비료

1,320

3%

6

7601

알루미늄

1,188

2%

7

8905

선박 관련 시추대 및 작업대

429

1%

8

9399

종류에 지정되지 않은 상품

410

1%

9

2804

수소희가스와 그 밖의 비금속원소

403

1%

10

8803

항공기 부분품

309

1%

기타

3,513

7%

합계

51,504

100%

자료: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진출 전략

Strength

Weakness

· 천연가스·석유 수출로 축적한 정부 및 국영기업의 탄탄한 자본력

· 정부주도의 경제 다각화 추진에 따른 안정적인 투자환경

· 수도·전기·연료 등 저렴한 유틸리티 비용

· 다양한 인재풀(저임금 단순 노동자고급 전문직)

· 국제유가에 좌우되는 에너지 의존 경제

· 취약한 제조업 기반 및 높은 해외 수입 의존도

Opportunities

Threats

· LNG 증산 계획에 따른 플랜트 시장 활기

· 카타르-GCC 간 단교해제로 경제 회복 및 정치 안정화

· 이란 제재 강화 등 역내 정치적 긴장 지속

· 에너지 분야 입찰 시 현지화 점수 제출 의무화로 현지화 비율

  확대 및 경쟁 불가피

 

QE(Qatar Energy)가 북부가스전(North Field) LNG 증산을 본격 추진 중인 만큼 프로젝트 참여 및 발주처 벤더 등록을 통한 기자재 수출 기회 혹은 유지보수 수요에 대응하여 진출 기회를 모색해볼 수 있다또한 카타르 투자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의 경우 QE가 현지화 정책을 조기에 정착시키기 위해 자체적으로 선정하여 추진 중인 프로그램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자료: QE(Qatar Energy), BMI, 주요 일간지(Gulf Times, Peninsula, Qatar Tribune), PSA(Planning and Statistics Authority), QCB(Qatar Central Bank), Meed Projects, KOTRA 도하무역관 자료 종합 등

 

 

이전글 (사우디 리야드무역관) 사우디의 탄소중립 선언과 수소시장 최신 동향
다음글 (필리핀 마닐라무역관) 36년 만에 재개되는 필리핀 원전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