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KOTRA


(쿠웨이트 쿠웨이트무역관) 쿠웨이트 에너지시장 정책방향 및 동향
KOPIA/ 작성일: 19-05-31 09:26

쿠웨이트는 원유의존도 감소, 산업 다각화, 환경보전 등을 위하여 신재생에너지 도입을 적극 추진 -

태양광, 전력관리시스템, 온실가스 배출 등의 분야 국내기업들의 진출 청신호 -

 

ㅁ 쿠웨이트 에너지 시장 동향


  ㅇ 쿠웨이트는 세계 10대 원유 생산국이자, 세계에서 6번째로 많은 원유 매장량을 보유

    - 수출의 90%, 국가 GDP의 40%가 원유수익에 의존하고 있을 정도로 경제의 원유의존도가 높음 

 

2017년 쿠웨이트 및 GCC 국가 원유수익 및 GDP 비교 

78fe3fa0ae10c6ba57a0c01836b2f165_1559262
자료원 : OPEC, World Bank

 

 ㅇ 원유의존도 감소, 산업 다각화, 환경보전 등을 위하여 신재생에너지 도입을 적극 추진

    - 쉐이크 사바 알 아흐메드 국왕은 2012년 열린 도하 기후변화회의에서 현재 자국의 오일분야에 치우친 발전체계를 탈피하고,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분야 발전방식을 도입할것임을 천명

    - 현재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발전비중은 1% 미만이며, 이를 2030년까지 16%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쿠웨이트 에너지부(MEW)의 장기 목표

    - 특히 풍력과 태양광 분야를 중점적으로 육성 예정으로, 이미 관련 기업들과 다양한 시범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추진

 

  ㅇ 원유 동향

    - 2017년 OPEC 통계청 조사 기준 세계 6위의 산유국으로, 전 세계 매장량의 6% 수준인 1,015억 배럴의 원유가 매장

    - 하루에 271만 배럴의 원유를 생산하고 있으며, 최근 저유가로 인하여 원유생산량은 감소추세

 

쿠웨이트 연도별 원유 생산량 

78fe3fa0ae10c6ba57a0c01836b2f165_1559262
자료원 : OPEC

 

 - 현재 2곳의 정유공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2020년부터 Al Zour 정유공장이 추가로 가동 예정

 

쿠웨이트 정유공장 정보(단위 : b/d) 

 

정유용량 – 현재

정유용량 – 전망

Mina Al-Ahmadi

466,000

346,000

Mina Abdullah

270,000

454,000

Al Zour

0

615,000

총 정유용량

736,000

1,415,000

자료원 : KPC 

 

쿠웨이트 원유 및 천연가스 매장지역 및 정유공장 위치

78fe3fa0ae10c6ba57a0c01836b2f165_1559262
자료원 : KISR GIS Unit

  

ㅇ 천연가스 동향

    - 전 세계 매장량의 1% 수준인 1.7조 cbm 수준의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

    - 하루 174만 cbm의 천연가스를 채굴하며, 채굴량의 90%를 국내에서 사용

    - 일부 수출도 하고있으나 현재까지는 수입물량이 더 크며, 현재 적극적인 개발을 진행중

 

※ 참고 – 쿠웨이트 석유 및 가스분야 관련 정부부처 및 국영기업

  SPC(Supreme Petroleum Council) : 석유분야 전반을 관할하고 정책을 결정하는 최상위기구

  KPC(Kuwait Petroleum Corporation) : 석유분야의 중앙화와 효율화를 위해 1980년 창설된 기관

  KOC(Kuwait Oil Company) : KPC의 자회사로 원유 및 가스 생산과 저장을 관할

  KGOC(Kuwait Gulf Oil Company) : KPC의 자회사로 사우디 Aramco의 협력사. 사우디 국경지역에서 원유 생산

  KUFPEC(Kuwait Foreign Petroleum Exploration Company) : KPC의 자회사로 해외 석유개발사업 관할

  KNPC(Kuwait National Petroleum Company) : 정유분야 및 국영주유소 관할

  KIPIC(Kuwait Integrated Petroleum Industries Company) : 정유,  LNG 수입터미널 운영, 석유화학제품 생산 관할

  KPI(Kuwait Petroleum International) : KPC의 자회사이며, 국내외 석유제품 생산 및 유통 사업 관할

  PIC(Petrochemical Industries Company) : 국내외에서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 종합화학회사

 

  ㅇ 전력동향

    - 쿠웨이트의 2018년 총 발전용량은 18.8 GW이며, 2035년에는 32 GW에 달할 것으로 전망

 

2018년 기준 가동중인 쿠웨이트 발전소 

발전소명

발전방식

발전용량(MW)

Doha East

증기터빈(7), OCGT(6)

1,158

Doha West

증기터빈(8), OCGT(5)

2,541

Az-Zour South

증기터빈(8), OCGT(4), CCGT(15), CCST(4)

5,806

Az-Zour North

CCGT(5), CCST(2)

1,540

Sabiya

증기터빈(8), OCGT(4), CCGT(8), CCST(4)

5,866

Shuaiba South

증기터빈(6)

720

Shuaiba North

CCGT(3), CCST(1)

875.5

Shuwaikh

OCGT(6)

252

Shayaga

태양광발전, 풍력발전

70

Umm Gudair

태양광발전

10

총 발전용량

 -

18,838

주석 : OCGT – open-cycle generation turbine; CCGT – combined-cycle gas turbine; CCST – combined-cycle steam turbine

자료원 : Ministry of Electricity and Water 

 

쿠웨이트, GCC, OECD 국가 간 1인당 평균 전력소모량 비교

78fe3fa0ae10c6ba57a0c01836b2f165_1559262 

 자료원 : International Energy Agency database

 

 

 - 2017년 기준 에너지 사용량의 70%가 주거용으로 이용되며, 특히 더운 기후로 인하여 에어컨 사용에 따른 에너지 소모가 매우 큼

    -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쿠웨이트는 신규 건축물들에 대한 에너지 관련 규제를 도입할 것으로 예상

 

  ㅇ 온실가스동향

    - 온실가스는 2015년 기준 83만 톤이 배출되었으며, 2035년 103.4만 톤으로 증가 예상. 이는 연평균 1.1%의 증가율로, 전세계 평균치의 2배 수준

    - 온실가스 증가율 억제를 위하여 2017년 신재생에너지 전력 백서를 발간하였으며, 머지않은 시기에 정부차원의 강도높은 이산화탄소 배출량 규제안 발의가 예상됨

    - Clean Fuel Project를 통하여 현재 가동중인 2 곳의 정유공장의 환경관련 시설을 개선, 유로-5 기준 달성 및 SOx, NOx 등의 황산화물과 같은 오염물질 배출 감축을 시도

 

ㅁ 2035년 쿠웨이트 에너지 시장 전망

 

  ㅇ 원유 및 천연가스 분야

    - 쿠웨이트 국영석유사(KOC)는 쿠웨이트의 석유 및 천연가스의 생산과 수출 확대를 위해 2035년까지 다양한 인프라 개발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2035년까지 원유 1일 생산량 350만 배럴, 천연가스 1일 생산량 273만 cbm를 달성하고자 함

 

석유 및 가스 분야 개발계획

Upstream

석유분야

북부와 동남부 원유저장소 4개 건설

북부 중유(Heavy Oil) 증산 프로그램

오프쇼어 및 셰일층 개발 등

가스분야

쥬라기 가스플랜트 프로젝트

카프리 – 미나 아흐마디 정유소 연결 가스파이프 건설 등

Downstream

석유분야

시운전을 통한 정유공장 생산용량 증대 계획

미나 압둘라 정유소 및 알주르 크립 프로젝트 등

가스분야

에탄 분해시설 개발 등

자료원 : KISR

 

원유 및 천연가스 생산계획 (2017~2035)

 

2017

2025

2035

평균증가율

원유(mb/d)

2.7

3.2

3.5

1.5%

가스(bcm/y)

17.4

21.5

27.3

2.5%

자료원 : KISR

 

  ㅇ 전력분야

    - 쿠웨이트의 2035년 총 발전용량은 2018년 대비 13.2 GW 증가한 32 GW에 달할 것으로 전망

    - 17.6 GW 만큼의 추가적인 발전용량 증대를 위한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들이 순차적으로 추진될 예정

    - 특히 203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16% 수준으로 확대하고, 천연가스를 활용한 복합화력발전의 비중을 확대하는 등, 전력공급 전반에 이르는 큰 변화가 예상됨

 

쿠웨이트 발전소 건설 계획 (2020~2030)

발전소

발전기술

발전용량(MW)

준공일정

Az-Zour South

복합화력

250

2020

Az-Zour North

복합화력

2,700

2023-2024

Doha East

복합화력

1,200

2028-2029

Al Khiran

복합화력

3,000

2023-2030

Al-Nuwaiseeb

증기터빈

3,600

2024-2025

Sabiya

복합화력

1,980

2020-2030

Shagaya

신재생에너지

3,025

2019-2026

Shuaiba South

복합화력

1,800

2028

총 발전용량

17,555

자료원 : Ministry of Electricity and Water

 

    - Shagaya Renewable Energy Complex의 경우 쿠웨이트 최초의 태양광 발전단지로 약 3 GW 수준의 발전용량 달성 기대되며, 2035년까지 전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목표는 총 5 GW임 

 

쿠웨이트 발전기술별 발전량(2015년, 2035년)78fe3fa0ae10c6ba57a0c01836b2f165_1559262 

자료원 : KISR

 

ㅇ 온실가스분야

    - 쿠웨이트에서 1년간 배출되는 온실가스는 2015년 8천 3백만 톤이고, 2035년 1억 340만 톤으로 매년 평균 1.1%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

    - 분야별 배출량으로는 전력생산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 비중이 54% 수준이며, 이 외에 산업분야, 교통분야, 정유분야가 각각 10~20% 비중을 차지

    - 원유채굴량 및 에너지발전량 증가 등으로 인하여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증가는 피할 수 없으나, 발전소 내 환경설비 강화, 디젤차량 도입, 온실가스 규제 신설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소시키고자 하는 노력 진행

 

분야별 온실가스 배출량

 

78fe3fa0ae10c6ba57a0c01836b2f165_1559262
자료원 : KISR

 

 

1인당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

 

78fe3fa0ae10c6ba57a0c01836b2f165_1559262
자료원 : International Energy Agency


ㅁ 국내기업 진출 유망분야

 

 

  ㅇ 신재생에너지

    - 쿠웨이트 정부는 2035년까지 신재생에너지분야 발전비중을 16%까지 확대하고자 다양한 방안을 모색 중이며,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쿠웨이트 환경과 가장 적합한 태양광과 풍력발전에 큰 비중을 두고 있음

    - 현재 1% 미만인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16년 안에 16%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매우 도전적인 목표 설정으로,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투자가 예상됨

    - 2019년부터 2026년까지 건설이 계획된 Shagaya 신재생에너지 단지 조성을 통하여 매년 3 GW 수준의 발전용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 외에도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들을 건설하여 2035년까지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5 GW 발전용량을 달성하고자 함

    - 태양광발전 분야의 경우 이미 호주, 중국 등 다양한 국가의 태양광 기업들이 쿠웨이트에서 경쟁적으로 시범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역시 한국전력기술 태양광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적극적으로 태양광사업에 참여 중

    - 금년 5월 쿠웨이트를 방문한 국무총리가 공식석상에서 여러차례 양국간 보다 긴밀한 협력을 강조한 유망분야이고, 쿠웨이트 Jaber Al-Mubarak Al-Hamad Al-Sabah 국무총리 역시 '한국기업의 참여 확대를 희망하며, 앞으로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적극적인 협력을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힘

 

  ㅇ 에너지 관리 시스템

    - 쿠웨이트 정부는 보다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와, 온실가스 배출 감축, 그리고 지속가능한 전력시스템 구축을 위해 에너지 가격 개혁 등의 에너지효율화 방안을 수립

    -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에너지 관련 보조금 삭감과 같은 에너지 가격 개혁 부분과 더불어 노후 발전소 설비 개선을 통한 발전효율 증가, 빌딩 및 차량 에너지 규제 강화, 에너지 절약에 따른 인센티브 부여 등이 있음

    - 국내기업이 진출을 노려볼 수 있는 세부 분야로는 노후 발전소 설비 개선 사업,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 스마트그리드, IT기술을 활용한 전력 모니터링 및 분석 시스템 등이 있으며, 특히 에너지 효율 향상과 함께 첨단 IT기술이 융합된 형태의 시스템의 경우 보다 진출에 효과적일것으로 기대

    - 이러한 에너지 관리 시스템들은 노후화된 건물 및 발전소에 적용 가능한 형태 뿐 아니라, 특히 쿠웨이트 신도시 개발 프로젝트 등과 더불어 진행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New Kuwait 2035 차원에서 추진하는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함께 확인할 필요가 있음

 

  ㅇ 환경분야

    - 매년 증가하는 온실가스 배출, 노후발전소 환경관련 설비 부재에 따른 황산화물 배출, 원유 채굴로 인한 토양오염 등으로 인하여 환경문제가 쿠웨이트의 큰 이슈로 대두

    - 쿠웨이트의 자연환경 보존 및 자국민의 생활 여건 향상을 위하여 쿠웨이트 환경청(EPA)은 2014년 환경보호법을 제정하였으며, 다양한 환경보호와 관련된 프로젝트를 기획 및 수행

    - 프로젝트와 관련 진출 유망 분야로는 발전소 및 정유소의 환경설비, 사막화 토양 복원, 원유채굴로 인한 토양오염 정화 등이 있으며, 특히 토양오염 정화 분야의 경우 수십년간의 채굴작업으로 인하여 국토의 상당부분이 황폐화 되어 쿠웨이트 정부 역시 매우 심각하게 고민하는 문제로 프로젝트의 규모와 범위가 매우 커 기술력 있는 한국 기업들의 적극적인 진출이 기대됨

    - 이 외에도 미세먼지 집진기,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수처리 등 다양한 분야의 환경분야 제품들 역시 진출이 유망

 

ㅁ 시사점


  ㅇ 쿠웨이트는 원유의존도가 높은 산유국의 경제에서 지속가능하고 다변화된 경제로 변화를 꾀하고 있음

 

  ㅇ 쿠웨이트의 이러한 정책변화는 그간 쿠웨이트의 근간이 되었던 석유위주의 사업환경이 아닌, 보다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쿠웨이트에 진출할 수 있도록 판을 바꾸는 게임체인저이며, 특히 그간 쿠웨이트에 진출하기가 어려웠던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관리 시스템, 환경분야 등의 기업들에게 큰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ㅇ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에너지 정책들은 대부분 New Kuwait 2035에 포함된 프로젝트 기반의 내용들이 많아, 중소·중견기업의 경우 단독 참여가 사실상 어려울 수 있으며, 대기업 혹은 국내 전력/발전 공기업 등과의 컨소시엄을 꾸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방안이나, 프로젝트의 벤더로서 참여하는 방법 등이 보다 현실적일 수 있음

 

  ㅇ 프로젝트 입찰제품공급시기 등을 고려하여 그 이전에 쿠웨이트 현지 에이전트 선입타겟 프로젝트의 발주처 벤더 리스트 등록절차 등의 사전 프로세스를 마무리하는 사전작업이 필요하며, 자사만의 특별한 기술 및 경쟁력이 있을 경우 발주처에 시범사업 등을 역 제안 하는 방향도 고려 가능

 

  ㅇ 국내 전력공기업, 대기업 및 관련 기관 등은 쿠웨이트 에너지분야의 PPP 프로젝트 참여도 고려해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쿠웨이트정부가 60% 지분 소유, 40년간 의무 구입 조건을 전제로 함

    - 이미 프랑스, 일본 기업 등이 기진출하여 적극적으로 PPP 사업을 수행 중

 

자료원 : KISR, Ministry of Electricity and Water, International Energy Agency database, OPEC, World Bank, KPC, International Energy Agency

 

  

이전글 (호주 시드니무역관) 호주 건설/인프라/플랜트 산업 정보
다음글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2019.05.24 주간입찰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