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KOTRA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무역관) 사우디 산업개관
KOPIA/ 작성일: 19-07-05 14:06

□ 산업 구조

  ㅇ 사우디아라비아는 석유 의존형 산업구조

    - 사우디의 원유 매장량은 약 2,662억 배럴로 베네수엘라에 이어 세계 원유 매장량 2위
    - 사우디의 일평균 원유 생산량은 약 980만 배럴로 미국에 이어 세계 원유 생산량 2위
    - 2018년 기준 사우디 석유산업 규모는 약 2,385억 달러이며, 전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1%로 가장 높고, 이어서 정부 서비스 18.8%, 제조업 12.8%, 금융업을 포함한 민간 서비스 12.2%, 도·소매업 9.5% 순
    - 사우디의 석유산업 수입은 전체 정부 수입의 약 72%를 차지하며, 원유 수출 금액은 전체 수출금액의 약 75%를 차지

2015년-2018년 사우디 산업별 GDP

(단위 : 백만불)

4ccd25e773f1622ec7759c06fb8e384c_1562302
 

  ㅇ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제는 국제유가에 좌우되는 ‘롤러코스터’ 경제

    - 2014년 6월 유가 하락 전까지 사우디는 고유가 혜택으로 높은 경제 성장을 달성했으며, 2011년에는 사우디 실질 GDP 성장률 역대 최고치인 13.6%를 기록
    - 이후 저유가 추세 지속으로 경제 성장이 부진했고 2017년에는 실질 GDP 성장률 –0.9%를 기록
    - 2018년 이후에는 유가가 다소 회복되면서 다시 2.2% 성장률 기록
    - 사우디는 국제유가 변동에 따라 GDP뿐만이 아닌 무역수지, 재정수지 등 거의 모든 국가 주요 경제지표가 함께 급등과 급락을 반복

  ㅇ 2018년 기준 사우디 주요 제조 및 가공 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석유·화학 관련 제조업이 주축

    - Vision 2030을 중심으로 한 탈석유화 정책 목표 중 하나는 기존의 단순 원유 수출에서 원유에 부가가치를 더한 석유화학 제품을 직접 생산 및 판매하는 것임.
    - 걸프 석유화학협회(GPCA)에 따르면 사우디는 2020년까지 플라스틱 생산량을 매년 3.2%씩 늘릴 것으로 전망
    - 사우디 국영기업 아람코(Aramco)는 SABIC을 인수하여 기존 업스트림(Up-stream) 위주의 아람코 사업을 다운스트림(Down-stream)으로까지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 계획
    - 아래 ‘2018년 사우디 산업별 업체 수, 투자 규모, 근로자 수’ 표를 살펴보면 석유·화학제품 생산 부분이 규모 면에서 약 1억 5,586만 달러를 기록하며 압도적 비중을 차지

2018년 사우디 산업별 업체 수, 투자 규모, 근로자 수

(단위 : 개, 백만달러, 명)

4ccd25e773f1622ec7759c06fb8e384c_1562303
 

□ 산업 정책

  ㅇ Saudi Vision 2030

    - 2016년 4월 25일, 사우디아라비아는 2014년 중반부터 시작된 저유가 추세 지속으로 국가 경제가 어려움에 직면하자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국가경제 개조 계획 ‘Saudi Vision 2030’을 발표
    - Vision 2030의 핵심 내용은 제도 개혁, 경제전략 수립과 석유 의존도 감소를 위한 산업정책 로드맵 작성 및 세부 이행계획 마련 등임. 

    - Vision 2030은 활기찬 사회(A Vibrant Society), 번창하는 경제(A Thriving Economy), 야심찬 국가(An Ambitious Nation), 이 세 가지 기둥(Pillar)으로 구성 

 

※ Saudi Vision 2030 세 기둥(Pillar)

 

  ➀ 활기찬 사회(A Vibrant Society)

 

   ㅇ 뿌리가 강한 사회(종교분야의 개혁과 전략)
    - 2030년 까지 성지순례객의 수용능력을 3,000만 명으로 증가시켜 관광 수입의 확대와 이슬람 성지 소재 국가로서의 위상을 제고하려는 계획
    - 아울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 건수를 현재의 2배로 증가시켜, 이슬람문화 계승의 적통국이자 중심국으로서의 위치를 확보하려는 의도
    - 이를 위해 성지순례를 위한 비자신청의 자동화, IT 시스템을 활용한 여행서비스 제공, 접객시설의 확충, 최첨단시설과 도서 연구시설을 갖춘 최대 규모의 이슬람 박물관 건립, 이슬람의 성지 메카 주변에 쇼핑몰을 포함한 관광 시설 건설 등을 세부이행 계획으로 수립

 

   ㅇ 성취감 있는 삶을 가진 사회(문화, 체육)
    - 3개의 사우디 도시를 세계 100대 도시에 진입시키며, 가게의 문화오락 활동비 지출 비중을 6%로 확대, 최소 주 1회 운동인구의 비율을 40%로 증가
    - 문화·오락활동에 대한 지원 강화와 관련 규제장치의 정비 및 완화를 시도

 

   ㅇ 기반이 튼튼한 사회(주거, 교육, 보건의료)
    - Social Capital 지수 순위를 10위로 높이고, 평균 기대수명을 80세로 연장
    - 자녀교육에 부모의 역할을 강화하고 비영리기관, 민간부문과 협력을 통한 교육의 질과 여건을 개선
    - 보건, 의료 분야에서 서비스 수준과 질적 개선을 위한 경쟁력 제고 및 투명성 강화

 

  ➁ 번영하는 경제(A Thriving Economy)

 

   ㅇ 기회에 대한 보상(직업훈련 및 중소기업 육성)
    - 실업률을 7%로 하향
    - 중소기업의 국가 GDP 기여도를 35%로 제고
    - 총 고용에서 여성의 비율을 30%로 확대
    - 고등교육과 시장이 요구하는 교육 간의 괴리를 축소하기 위해 고교과정 개편과 산학협동, 대기업과의 협력 강화
    - 중소기업의 금융 접근 기회 개선, 규제 완화, 마케팅 지원

 

   ㅇ 장기투자 전략(민간, 신성장 산업 육성)
    - 사우디의 국가 경제규모를 15위로 상승
    - 석유·가스 부문 설비기자재 국산화율을 75%로 제고
    - 방위산업 육성을 위해 부품 자급률을 50% 이상으로 확대
    - 민간투자 촉진, 공기업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국가 경제에 기여도 제고
    - 신재생에너지 및 천연가스 발전 목표설정, 연관 산업의 육성, 킹 살만 신재생에너지 전략 수립, 법적 제도적 정비

 

   ㅇ 사업환경 개선(국가경쟁력 제고)
    - 국가경쟁력 지수를 10위로 향상
    - GDP 대비 FDI 비중을 5.7로 높임.
    - 민간부문의 GDP 기여도를 65%로 확대
    - 이를 위해 전반적인 사업 환경을 개선하고 경제도시의 활성화 특구설치를 증가
    - 도소매업 현대화 및 디지털 인프라 확충

 

   ㅇ 지정학적 장점 활용 극대화(무역, 투자 증진)
    - 물류 성과지수 순위를 25위로 향상, 중동 물류허브로 발돋움
    - 비석유 부문의 수출비중을 50%로 높임.
    - 민간 외국 파트너와의 협력 및 운용, 효율성 개선을 통한 물류여건 개선
    - GCC 국가들과의 경제통합 심화, 주변 국가들과의 무역 물류협력 확대
    - 사우디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통한 지역리더 기업 육성

 

  ➂ 야심찬 국가(An Ambitious Nation)

 

   ㅇ 국가경쟁력 제고
    - 정부 효율성 지수 순위를 20위로 수직 상승
    - 전자정부지수 순위를 상위 5위 이내로 높임.
    - 비석유 재정수입을 1조 리얄(약 2,666억 3,500만 달러)로 증가
    - 세계 최고 수준의 정부 투명성 및 책임성 확보
    - 훈련과 성과보상체계 개선을 통한 공무원의 자질 향상
    - 재정지출의 효율성 제고 및 전자 정부화 촉진

 

   ㅇ 범국가적 책임성 제고
    - 가계소득 대비 저축률을 10%로 증가
    - 비영리 부문의 GDP 기여도를 5%로 높임.
    - 개인·기업·사회 차원에서 책임성 제고
    - 비영리 부문의 활동 강화 지원 

 

※ 13개 비전 실현 프로그램(Vision Realization Programs)

 

  ㅇ 사우디 정부는 Vision 2030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13개의 비전 실현 프로그램(Vision Realization Programs) 마련

 

   ① 삶의 질(Quality of life program)
      - 사회문화 인프라 건설을 통해 시민들이 문화, 환경 및 스포츠 활동에 적극 참여하게 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켜 주는 것이 목표
     - 2020년까지 149개 갤러리, 27개 오락실, 16개 가족 엔터테인먼트 시설, 1개 워터파크, 11개 박물관, 45개 영화관, 3개 대형 공원, 6개 동물원 및 아쿠아리움 등 건설 계획

 

   ② 금융 부분 개발(Financial sector development program)
     - 금융 부분의 효율화와 다양화를 실현해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
     - 2020년까지 중소기업 융자금 조달 비중을 5%까지 확대 및 전자 결제 비중을 28%까지 늘리는 것 등이 목표

 

   ③ 주택(Housing program)
     - 주택 공급을 통해 사우디 국민들의 자택 소유 비율을 60%까지 향상 목표
     - 평균 주택가격을 사우디 국민 평균 연 소득의 5배 수준으로 인하 목표
   
   ④ 재정수지 균형(Fiscal balance program)
     - 석유, 비석유 부분으로부터의 재정수입 극대화 및 재정의 효율적 지출 목표 
 
   ⑤ 국가 개혁(National transformation program, NTP)
     - 정부 기능의 유연화 및 효율성 제고, 필수 사회기반시설 설립을 통한 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 등, 범국가적인 개혁 프로그램
     - 의료·보건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전체 거주지 중 88% 이상 지역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 향상
     - 국가별 부패인식지수(CPI)에서 국가 청렴도 순위를 40위 까지 상승 
     -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인구 10만 명당 23명 수준까지 낮추는 것을 목표
     - 전체 경제활동 인구 중 여성의 참여율을 25%까지 향상
     - 중소기업의 GDP 기여도를 23%까지 향상 등

 

   ⑥ 공공투자펀드(Public investment fund program)
     - Vision 2030 계획 실행을 위한 공공투자펀드 자금조달 목표

 

   ⑦ 민영화(Privatization program)
     - 현재 정부제공 서비스에서 민간 부분의 비중을 늘리려는 목표
     - 민영화를 통해 정부재정 지출 부담을 줄이고 민간 부분 역할 향상을 기대

 

   ⑧ 자국기업 진흥(National companies promotion program)
     - 각 지역의 100개 이상의 민간회사 지원을 통해 해당 지역을 선도하는 기업을 넘어 글로벌 기업으로까지 육성 목표

 

   ⑨ 국가산업 및 물류 개발(National industrial development and logistics program, NIDLP)
     - 유망 분야를 선도하는 산업발전소, 글로벌 물류 허브 국가로 거듭남을 목표
     - 4가지 중점분야인 산업, 광업, 에너지, 물류 개발 계획

 

   ⑩ 전략적 파트너십(Strategic partnership program)
     - GCC의 결속력을 다지고 국제사회에서의 사우디 입지를 강화 시키려는 목표

 

   ⑪ 대순례와 소순례(Haji and Omrah program)
     - 성지순례를 오는 무슬림들의 가능 수용인원을 최대한으로 늘려 전 세계 무슬림들이 성지순례를 무사히 마칠 수 있게끔 목표
     - 더불어 메카, 메디나 지역을 순례객 들을 위한 관광지로 조성 목표

 

   ⑫ 인적자본 개발(Human capital development program)
     - 기초 교육부터 고등 교육까지 교육의 질을 높이고 직업훈련 프로그램 등을 통해 비전 2030 달성을 위해 수요 되는 인재 육성

 

   ⑬ 국민성 강화(National character enrichment program)
     - 사우디아라비아에 깊이 내재돼 있는 전통적 가치부터 현대사회에 필요한 기업가 정신 등을 정부 프로그램을 통해 젊은 인구층을 중심으로 교양 목표 


 □ 규제정책

  ㅇ 사우디 표준청(SASO)의 신규 인증시스템 SABER

    - SASO(Saudi Standards, Metrology and Quality Organization)는 2019년 1월 1일부터 SALEEM(Saudi Product Safety Program) 구현을 위해 온라인 인증 플랫폼 ‘SABER’ 도입
    - 기존의 사우디 CoC(Certificate of Conformity) 프로그램을 점진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목적
    - 현지 제조 또는 수입 여부와 상관없이 사우디 시장 진입을 위해서는 제품 적합성 증명서 및 제품의 출하 적합성 판단을 위한 선적 인증서가 필수적으로 요구
    - SABER를 통해 제품 적합성 증명서 및 선적 인증서 발급 가능
    - SABER 전자 등록 의무는 수입업자가 지며 우리 기업(수출업자)은 실질적으로 CB와 협력을 통해 관련 서류만 준비 필요

 

  ㅇ 사우디 표준청(SASO)의 플라스틱 제품 등록 적용 품목 추가 규제
    - SASO는 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에 대해 SASO가 허가한 첨가물만 사용할 것과 적절한 품질관리체계를 갖출 것을 의무화
    - 제조 및 수입업체는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시험 보고 인증서를 제출해야 하며 제출 이후 6주 이내에 제품 첨가제가 식품의 안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인증서를 제출해야 함. (3년마다 갱신 필요)
    - 수입업자는 자신이 수입한 모든 제품에 SASO로부터 받은 로고를 반드시 부착해야 하며, 제품을 수입한 공장 목록을 SASO에 제공해야 함.

 

자료: 사우디 통계청(GASTAT), 사우디 산업개발펀드(SIDF), 사우디 에너지산업광물자원부,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이전글 (오만 무스카트무역관) 오만 재생에너지 현황 및 시사점
다음글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2019.07.05 주간입찰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