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KOTRA


(베트남 하노이 무역관) 상반기, 베트남 경제 동향
KOPIA/ 작성일: 25-07-22 09:14

2025년 상반기 경제성장률

 

2025년 2분기 베트남 경제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7.96% 성장했다이는 2020~2025년 기간 중 2022년 2분기(8.56%)를 제외하면 가장 높은 분기별 성장률이다또한상반기 경제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7.52% 증가해, 2011년 이래 상반기 기준 최고 성장률을 기록했다주요 부문별로는 농림·어업 부문은 3.84% 증가해 경제에 5.59% 기여산업·건설 부문은 8.33% 증가해 42.20% 기여서비스 부문은 8.14% 증가해 52.21% 각각 기여했다가공 ·제조업과 산업·건설과 서비스 부문이 크게 증가하며 전체 경제성장률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년 동기 대비 올해 상반기 부문별 GDP 성장률>

(단위: %)

[자료베트남 통계총국]

 

수출입 동향

 

2025년 상반기베트남 총 교역 규모는 43203천만 달러로전년 동기 대비 16.1% 증가했다총수출액은 21983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했고총수입액은 2122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7.9% 증가했다그 결과무역수지는 76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무역 수지 흑자 기조는 유지했으나전년 동기 1215000만 달러 흑자 규모보다 크게 줄어든 수치다.

 

주요 교역국을 살펴보면미국은 여전히 베트남 최대 수출 시장으로, 2025년 상반기 동안 미국으로의 수출액은 7091000만 달러에 달했다중국은 베트남의 최대 수입 시장으로상반기 기준 수입액은 847억 달러를 기록했다.

 

<2025년 상반기 주요국 베트남 수출입 동향>

(단위 억 달러)

국가

수출액

 

국가

수입액

미국

709.1

 

중국

847.0

중국

291.2

 

대한민국

283.6

대한민국

137.4

 

대만

147.7

일본

128.1

 

일본

115.9

홍콩

76.6

 

미국

88.7

총수출액

2198.3

 

총수입액

2122

[자료베트남 관세총국, 2025.7.7. 발표 예비수치, KOTRA하노이 무역관 재구성]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 동향

 

 

2025년 상반기 베트남 외국인직접투자(FDI) 유치 실적은 2152000만 달러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32.6% 증가세를 기록했는데 이는 지난 15년 중 최고치이다신규 투자는 1988약 93억 달러증자 및 추가투자는 826약 895000만 달러출자 및 주식 매입은 33억 달러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가공·제조업(120억 달러), 부동산업(51억 달러), 과학기술업(12억 달러순으로 많았다국가별 투자액은 싱가포르가 약 45억 달러로 전체 투자액의 21.4%를 차지해 최대 투자국 지위를 유지했다이후 한국(30억 달러, 14.3%), 중국(25억 달러), 일본(22억 달러), 말레이시아(16억 달러순이다.

 

<2025년 상반기 베트남의 주요 산업 분야별 외국인 투자(FDI) 현황>

(단위백만USD)

산업분야

신규투자

증액투자

지분투자 및

주식매입

총투자금액

프로젝트수

투자금액

프로젝트수

투자금액

프로젝트수

투자금액

1

제조가공업

759

5,058.9

467

5,506.4

278

1,408.3

11,973.5

2

부동산경영업

60

2,245.6

29

2,592.2

46

327.5

5,165.3

3

전문과학기술

221

202.6

58

211.4

275

763.2

1,177.3

4

용수 공급 및 폐수처리업

6

1,075.0

3

177.1

3

4.9

902.9

5

도소매 및 수리업

645

285.6

154

292.7

699

175.4

753.6

6

호텔 요식업

38

159.3

12

218.5

106

58.3

436.1

7

전력생산 및 공급

1

116.2

1

13.9

6

64.1

194.2

8

건설업

27

8.2

22

63.2

24

118.5

189.8

9

의료 및 사회복지업

-

-

2

85.5

8

76.2

161.7

10

금융 및 보험업

2

2.6

1

0.0

8

145.9

148.6

11

물류창고업

65

86.1

13

21.0

57

29.7

136.8

12

행정 및 사업지원

37

21.1

12

89.8

34

9.4

120.2

13

교육업

14

1.1

11

63.1

26

25.4

89.6

14

농림수산업

3

11.0

5

6.0

12

22.1

27.1

15

정보통신업

104

13.7

36

29.3

115

40.0

24.4

16

기타서비스업

5

3.8

-

-

2

12.7

16.5

17

엔터테인먼트

1

0.2

-

-

6

1.1

1.3

18

광산업

-

-

-

-

3

0.7

0.7

총계

1,988

9,291.0

826

8,945.3

1,708

3,283.4

21,519.7

[자료베트남 재무부, 2025.6.30. 기준, KOTRA하노이무역관 종합]

 

<2025년 상반기 베트남 상위 20개국 투자 현황>

(단위백만USD)

순번

투자국

신규투자

프로젝트수

투자금액

증액투자

프로젝트수

투자금액

지분투자 및

주식매입

프로젝트수

투자금액

‘25년 상반기 총투자금액

1

싱가포르

273

2,405.7

105

1,025.6

160

1,173.3

4,604.6

2

한국

206

232.8

153

2,580.6

452

268.5

3,081.9

3

중국

600

2,130.8

136

280.1

277

140.9

2,551.8

4

일본

146

832.3

91

1,077.3

107

242.3

2,151.9

5

말레이시아

23

8.1

10

1,571.0

31

11.2

1,590.4

6

대만

97

725.8

66

366.6

114

194.9

1,287.3

7

홍콩

239

691.9

104

456.3

61

60.1

1,208.3

8

스웨덴

4

1,000.3

4

20.2

4

0.3

1,020.8

9

태국

19

59.4

14

476.5

19

333.7

869.6

10

버진아일랜드

(영국령)

25

317.0

21

220.1

18

263.2

800.4

11

케이먼군도

5

81.5

6

338.7

6

8.5

428.7

12

사모아

25

123.1

12

46.3

13

190.7

360.1

13

미국

64

183.3

18

-85.1

65

151.7

250.0

14

영국

22

33.1

8

180.7

29

5.2

219.0

15

스위스

7

4.2

5

104.7

6

46.0

154.9

16

네덜란드

12

55.7

6

26.4

12

59.4

141.6

17

이탈리아

6

0.3

5

122.9

9

0.3

123.5

18

세이첼군도

13

42.1

11

23.6

8

33.5

99.2

19

덴마크

4

71.1

1

0.0

7

12.8

83.9

20

프랑스

18

31.3

9

38.0

21

6.5

75.8

기타

-

-

-

-

-

-

-

총계

1,988

9,291.0

826

8,945.3

1,708

3,283.4

21,519.7

[자료베트남 재무부, 2025.6.30. 기준, KOTRA하노이무역관 종합]

 

물가 동향

 

2025년 상반기 베트남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3.27%를 기록해정부 관리 목표인 4.5% 이하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상반기 물가 상승에는 주로 서비스 부문주택·전기·수도 및 건축자재비의약품·의료서비스 등의 가격 인상에 기인했다한편산업생산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했으며 특히 가공 및 제조업 부문이 11.1% 증가해 전체 증가율에 9.1% 포인트 기여했다.

 

<2025년 상반기 베트남 주요 거시경제지표 요약>

지표

2025년 1분기

2025년 2분기

2025년 상반기

경제성장률(%)

6.93

7.96

7.52

산업생산지수(IIP)

7.6

10.3

9.2

PMI

-

45.6(449.8(548.9(6)

-

수출(억 달러)

1028.4(+10.6%)

1169.3(+18.0%)

2198.3(+14.4%)

수입(억 달러)

996.8(+17%)

1125.2(+18.8%)

2122.0(+17.9%)

교역규모(억 달러)

2025.2(+13.7%)

2294.5

4320.3(+16.1%)

외국인직접투자(억 달러)

109.8

105.4

215.2(+32.6%)

소비자물가지수(CPI)(%)

3.22

3.31

3.27

관광객 수(만 명)

-

1070(+20.7%)

[자료베트남 통계총국관세총국투자청, KOTRA하노이무역관 종합]

 

시사점 및 전망

 

2025년 2분기 및 상반기 동안 베트남의 교역과 투자 및 주요 거시경제지표는 불확실성과 불안정성이 확대되는 대외 여건에도 불구하고 좋은 성과를 기록했다특히상반기 수출입 규모는 미 상호관세 영향 속에서도 큰 폭 증가세를 보였는데이는 관세 유예 기간 내 조기 선적 수요가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세계은행, OECD 등 주요 국제 기관의 전망치를 상회하는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베트남 경제는 대외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7월 2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로 베트남과 미국 간 상호관세 협상이 타결되며 불확실성은 일시적으로 완화됐으나여전히 불투명한 부분도 남아 있는 상황이다. 40%가 부과되는 제3국을 경유한 제품에 대해 적용 범위나 기준이 모호하며경쟁국들의 세율도 아직 확정되지 않아수출경쟁력에 대한 판단이 어려운 상황이다.

 

무엇보다도 베트남 현지 및 진출 기업들은 상호관세 부과 이전보다 높은 비용 부담에 직면하게 됐고중국 의존적인 공급망 구조를 탈피해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는 경우가 많다하반기 베트남 경제는 이러한 공급망 구조 개선 노력과 더불어주요 경쟁국들의 대미 협상 결과글로벌 수요 회복 여부 등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베트남 통계총국관세총국재무부투자청현지언론 및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이전글 (이집트 카이로 무역관) Nile Plastic Recycling, 수에즈 운하 경제구역(SCZONE)에 1,500만 달러 투자 확대
다음글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무역관) 2025년 상반기 수출기업이 주목해야 할 크로아티아 경제·산업·제도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