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KOTRA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무역관) 사우디 전력산업
KOPIA/ 작성일: 19-08-23 09:17

산업 특성

□ 정책 및 규제

   사우디 정부는 ‘Saudi Vision 2030’ 일환으로 전력 생산 프로젝트 추진 중

    - 2030년까지 국가 총 전력 생산량을 120GW로 끌어올릴 계획

    현재 약 14GW에 해당하는 발전소 프로젝트가 입찰 진행 중이며, 2030년까지 총 52GW에 해당하는 발전 프로젝트 발주 예정

  ㅇ 사우디 전력규제당국(ECRA) 2018년부터 가정용 전기요금 약 3배 인상

     사용전력량 6,000kwh까지 kwh당 0.18리얄(약 51), 그 이상은 0.3리얄(약 85)으로 기존의 3배 수준

     - 2017년 기준 사우디 전력 공급의 48%는 가정용, 16.2% 상업용이며제조업 미비로 인해 산업용은 약 18.4% 수준

     - 전기요금 인상은 저유가 이후 지속된 재정적자 개선을 위한 정책 일환으로 분석

  ㅇ 사우디 전력청(SEC), 정부 제조업 육성 정책 일환으로 기자재 국산화 강력 추진

     - 사우디 현지화(Localization) 목표 달성 위해 2017년 100개 이상의 전력 기자재 대상 Licalization 품목 지정

     - 현지 공장 미보유 시 현지화 해당 품목은 사우디 전력청(SEC)이 발주 프로젝트에 기자재 납품 어려움.

 

□ 최신 기술 동향

   ㅇ 상용원전 건설을 통한 원자력 발전소 건설 추진

     - 2030년까지 1.4GW 원전 2기 건설 추진

     - 2040년까지 원자력 발전소 16총 발전량 17GW 규모(200억 달러)의 대형 상용원전 건설 목표

     - 주요 참가국은 한국미국프랑스중국러시아 등 총 5개국

   ㅇ -사우디, 100MW급 중소형 스마트 원전 공동개발

     - 원자력안전위원회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사우디와 공동으로 2019년 말까지 표준설계 마무리 예정

   ㅇ NEOM(네옴), Red Sae(홍해등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추진

     - NEOM은 사우디 서북부 타북주에 총 면적 26,500(서울시 44)에 달하는 친환경 도시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로 2017 사우디 왕세자가 FII(Future Investment Initiative)에서 발표

     - Red Sea는 서부 홍해 연안에 친환경 고급 휴양 및 레저 도시를 건설하는 프로젝트

     - 사우디 정부는 상기 두 프로젝트 지역 전력 공급은 태양열풍력 등 신재생에너지가 주요 공급원이 될 것이라고 발표

 

□ 주요 이슈

   ㅇ 노후 전력발전소 개선

     - 1980-90년대 건설된 발전소의 및 전력 인프라 노후화로 전력 송배전 시 손실률 높음.

     - 노후 발전소 및 인프라 성능개선 프로젝트 발주 증가 전망

   ㅇ 화력발전 위주 전력생산

     - 대부분의 전력은 화력발전소로 생산되며가스터빈 49%, 스팀터빈 34%, 복합화력이 약 16% 차지

     - 발전 연료는 가스 54%, 원유 20%, 하이브리드 혼합연료 22% 등임.

   ㅇ 높은 인구 증가율에 따른 전력 소비 급증

     - 인구 약 3,400만명 중 1,000만 명이 외국인나머지 2,400만 명이 사우디 인으로 추정

     - 사우디인 중 50%가 30세 이하로 추정되며매년 1.8% 이상의 인구 증가율 기록

      

□ 주요 기업 현황

   ㅇ 사우디 국영석유회사(ARAMCO)

     - 사우디 전력청(SEC) 1대 주주로 지분 74.3% 보유

     - 홈페이지 : www.saudiaramco.com

   ㅇ 사우디 전력청(SEC, Saudi Electricity Company)

     - 사우디 국영 전력회사로 사우디 총 발전량의 약 65% 차지

     - 홈페이지 : www.se.com.sa

   ㅇ 사우디 전력당국(ECRA, Electricity and Cogeneration Regulatory Authority)

     - 사우디 전력 정책규제 개설 및 관리

     - 홈페이지 : www.ecra.gov.sa

   ㅇ 사우디 담수화청(SWCC, Saline Water Conversion Corporation)

     - 사우디 전력청 다음의 전력 발전 기업(총 발전량 10% 차지)

     - 홈페이지 : www.swcc.gov.sa

      

산업 수급 현황 

​2013-2017년 사우디 수요자별 전력 공급 동향 

(단위 : GWh, %)

3ae31ef21eab72edd7305edcd1c52ac4_1566519
 

 

ㅇ 가정 및 상업용 전력 공급이 전체의 64.2% 차지

     - 제조업 미비 발달로 산업용은 전체의 약 18.4%만 차지하며 대부분 전력은 가정 및 상업용으로 공급

 

2018-2022년 사우디 전력 발전 및 소비량 전망

(단위: TWh) 

3ae31ef21eab72edd7305edcd1c52ac4_1566519
 

  ㅇ 2022년 사우디 전력 발전량은 363.7TWh, 소비량은 334.9TWh로 전망

     - 높은 청년 인구 비율 및 인구 증가율로 소비량 증가속도는 2022년 이후 더욱 빨라질 것으로 예상되며이에 따른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 발주 예상 


진출 전략

 

□ SWOT 분석 

3ae31ef21eab72edd7305edcd1c52ac4_1566519
 

□ 유망분야

   ㅇ 노후화 시설 개선 프로젝트

     - 화력가스 등 노후화 발전소 성능개선 프로젝트

     - 손실률 감소를 위한 송배전 인프라 성능개선 프로젝트

   ㅇ 상용원전 프로젝트 기자재 수출

     - 상용원전 프로젝트 진행 시 관련 기자재 수요 증대 전망

     - UAE 바라카 원전 경험을 바탕으로 사막형 원전 기자재 수출 시장 공략 가능

   ㅇ 사우디 현지 제조공장 등 JV 설립

     - 현지화(Localization) 정책 강화에 따른 현지 제조공장 보유 시 국영석유회사(ARAMCO), 전력청(SEC) 등 발전 관련 주요 기업에 기자재 납품 가능성 증대

     - 단순 제조공장 일지라도 벤더 등록에 많은 우대사항이 있으므로 고려 필요

 

자료사우디 경제기획부(MEP), 전력청(SEC), 전력규제당국(ECRA), 현지언론(Arab News ), 국내언론(연합뉴스조선일보 등), BMI, KOTRA 리야드 무역관 자료 종합 

이전글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2019.08.16 주간입찰정보
다음글 (베트남 호치민무역관) 2019.08.20 주요경제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