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KOTRA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무역관) Solar tech 2025를 통해 본 인도네시아 태양광 산업 동향
KOPIA/ 작성일: 25-05-09 17:03

2025년 4월 23일부터 25일까지 자카르타 JIEXPO 전시관에서 개최된 솔라텍(Solartech) 인도네시아 2025는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의 태양광 및 에너지 저장장치 산업 전시회다올해 10회째를 맞는 전시회서 780개 부스를 설치하고 약 1만8000명의 관련 참관객이 참여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태양광 및 에너지 저장 장치관 외 스마트홈 및 스마트 라이트(조명)관 등 부대 공간도 함께 마련됐다.

 

<Solartech Indonesia 전시회 개요>

전시회명

10회 2025 솔라텍 인도네시아(Solartech Indonesia 2025)

 * Solar PV & Energy Storage Technology

일자

2025.4.23.() ~ 4.25.()

장소

JIEXPO Kemayoran Jakarta

전시품목군

Solar PV and Technology, Battery & Energy Storage, Smart Grid, Smart Home & Light, IoT and Electronics Components

전시주관사

PT. Global Expo management(GEM Indonesia)

홈페이지

https://solartech-exhibition.net/

[자료: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정리]

 

인도네시아 에너지전환가속화연구소(Institute for Essential Services Reform, IESR) 발표자료에 따르면 2024년 말 인도네시아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15.1GW(14.8%)태양광 발전 설비 용량은 2024년 8월 기준 717MW라고 밝혔다.

 

<인도네시아 태양광 발전 설비용량>

(단위: MW)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aac0f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8pixel, 세로 612pixel

 

[자료Institute for Essential Services Reform, IESR, Indonesia Solar Energy Outlook 2025]

 

이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수립한 국가에너지계획(KEN)에서 설정된 2025년까지의 에너지믹스 비중 목표 23%에 약 8%량 부족한 수치이며태양광 설비용량은 전체 설비용량 약 90GW에 대해 1% 미만에 불과한 수준이다한편인도네시아는 2024년 한해 총 1.9GW 규모의 석탄화력 발전소를 추가 건설해 에너지믹스 실현 가능성에 불확실성이 함께 제기되고 있다. 그럼에도, 인도네시아 정부는 에너지 자립과 안보 확보도서 지역 전력 공급 효율화 등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확대 정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최근 국영전력회사(PLN) 수로소 이스난다르(Suroso Isnandar) 이사는 전력공급계획(RUPTL)에 따라향후 10간 71GW의 발전 용량을 확보할 계획임을 밝혔다이 중 약 59%에 해당하는 41.9GW를 신재생 에너지로 충당할 예정이며태양광 발전은 약 16.9GW로 약 40%를 차지한다또한 에너지광물자원부 5호 장관령(MEMR No. 5/2025)으로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경제성 강화를 위해 전력구매계약(PPA) 간소화법적 명확성 및 발전기간 추가 연장 (최대 30년 장기계약 허용등을 조치했다.

 

이에당 관에서는 인도네시아 에너지믹스 계획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국내기업의 수출 및 프로젝트 수주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해당 전시회에 국가관을 처음 구성해 수출 및 수주지원 활동을 전개했다.

 

<Solar tech 2025 전시회 전경>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aa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49pixel, 세로 642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caa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943pixel, 세로 578pixel

[자료: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직접 촬영]

 

한국관에 방문한 PLN Suku Cadang A 씨는 태양광 발전소에서 흔히 일어나는 전압 강하시 주파수 변화에 대응하는 전력 계통 안정화 인버터 기술(GFM) 눈에 띈다'라며, “이번 한국관에서 IKN(신수도및 Karangkates(129MW), Cirate(145MW), Kedung Ombo(100MW), Saguling(60MW), Semarang, Lontar (계획등 수상 태양광 프로젝트를 함께할 수 있는 2개 기업도 함께 발굴했다고 언급했다또한 인도네시아 태양광 발전 협회장인 마다 아유 합사리(Mada Ayu Habsari)는 옥상형 태양광 발전 관련 장관령 (No 2./2024) 개정 후 도입 확대 추세*태양광 모듈 효율성(최대 30%) 증가전력망 미연결 도서 지역 대상 디젤 하이브리드/오프그리드 태양광 발전 사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 옥상형 태양광 관련 장관령 규정 개정 후 2024년 1차 쿼터에서 1개월 내 565MW 발전용량이 신규 등록이 완료된 바 있음

 

한편태양광 발전 사업에 대한 과도한 국산부품 사용비율(TKDN) 요구로 투자 철회 등을 유발, 외국기업의 발전사업 참여에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많았다이에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장관령 No. 33/2024을 통해 기존 부품별 TKDN 세부 산정 방식을 폐지하며 단순화했다또한 에너지광물자원부는 장관령 No. 11/2024 및 결정 191/2024호 부속서를 통해 발전소 유형별로 재화와 서비스를 통합한 통합 TKDN 비율을 확정했으며태양광 발전은 전체 시스템의 최소 TKDN 20%로 명시했다마지막으로 장관령 No. 11/2024를 통해 외국자금(ODA, 수출금융 등)이 50% 이상 포함된 발전 프로젝트는 TKDN 요구 시 면제가 가능하도록 규정을 개정하는 등 승인 받은 사업자에 한해 완화 조치도 일부 시행했다.

 

<발전 유형별 통합 TKDN 기준표>

발전 유형

최소 TKDN (goods+services)

Article/Annex Reference

Steam Power Plant (PLTU)

27.18% (600 MW)

18.83% (> 600 MW)

Annex Table 1

Gas Turbine Power Plant (PLTG)

10.39%

Annex Table 2

SteamGas Combined Cycle (PLTGU)

21.93%

Annex Table 3

Gas Engine Power Plant (PLTMG)

23.96%

Annex Table 4

Geothermal Power Plant (PLTP)

24% / 29%

 • 20% (for partial project)

Annex Table 5

Hydro Power Plant (PLTA)

45% (10 MW)

• 35% (50 MW)

• 23% (> 50 MW)

Annex Table 6

Solar Photovoltaic Plant (PLTS)

20%

Annex Table 7

Onshore Wind Power Plant (PLTB)

15%

Annex Table 8

Biomass Power Plant (PLTBm)

21%

Annex Table 9

Biogas Power Plant (PLTBg)

25.19%

Annex Table 10

WastetoEnergy (PLTSa)

16.53%

Annex Table 11

Transmission & Substation Infrastructure

12.95% – 65.65%

Annex Tables 1213

[자료: MEMR Decree191/2024,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구성]

 

그러나 낮은 전력구매단가는 여전히 태양광 발전 확산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IESR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태양광 발전단가(PPA Tariff)는 약 USD 0.05~0.065/킬로와트시(kWh) 수준으로 주 전원인 석탄화력발전 약 USD 0.05~0.07/킬로와트와 비슷한 수준이다또한 군도 특성상 도서 지역의 인프라 개발 격차로 국영전력공사 외 안정적 전력 공급처(대규모 산업단지 등발굴에도 어려움이 상존한다.

 

인도네시아 신정부는 2024년 11월 대통령 8대 비전 아스타 시타(Asta Cita)를 통해 에너지 자립국 실현을 국가 핵심 과제로 천명하고, 2040년까지 화석연료 발전소의 단계적 폐지 계획을 G20 서밋(Summit)에서 공식화했다최근 대통령의 TKDN 완화 필요성 언급 등은 민간 참여 및 투자 확대와 기술 협력을 위한 긍정적인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다정책 일관성과 실행력제도 정비의 실효성에 따라 에너지 전환 정책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해야 하며현지 진출 계획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자료Institute for Essential Services Reform(IESR)인니태양광에너지발전협회(AESI), RUKN, Tempo, Antara News 등 현지 언론 종합,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체 발주처/바이어 인터뷰 및 보유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이전글 (이집트 카이로 무역관) 이집트 엘스웨디 일렉트릭, 네덜란드 토마센 서비스 지분 60% 인수하며 가스 터빈 사업 확장
다음글 (카타르 도하 무역관) Kahramaa, 전력 인프라 확충 위해 대한전선 참여 85억 달러 규모 계약 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