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KOTRA


(베트남 하노이 무역관) 베트남 한국에너지협회, 삼성물산 수주 베트남 최초 LNG 터미널 답사 및 재생에너지 관련 DPPA(직…
KOPIA/ 작성일: 25-05-16 14:26

행사 개요

 

재베트남 한국에너지협회에서는 지난 5월 9~10일 양일간 LNG 터미널 현장 답사 행사 및 DPPA 세미나 등을 주최했다해당 행사는 70여 개 기업·기관 협의체로 구성된 재베트남 한국에너지협회 회원사 간의 네트워킹 및 직접전력구매제도 이슈 공유북부지부와 남부지부 간 교류 활성화와 베트남 전력발전 관련 의견공유를 위해 마련됐다. KOTRA 동남아 수주지원센터(하노이무역관)에서는 이번 행사 참관을 통해 회원사들의 베트남 사업 기대사항을 청취했다. 또한 베트남 LNG 발전 방향, 재생에너지 시장 미래에 대한 전략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재베트남 한국에너지협회(KEAV) 소개

 

베트남에 진출한 에너지 분야(전력기자재 등한국기업·기관들이 모인 단체로, 2020년 산업부 등의 지원 하에 설립됐다현재 베트남 내 진출기업 및 기관으로 구성된 70여 개 회원사로 구성 있다연중 에너지 관련 정부 정책 동향 공유신규 회원사 소개이슈 발생 시 관련 세미나베트남 정부기관 대상 회원사 의견 대변 및 교류 등을 추진한다또한 한국 기업 간에도 활발히 소통 관련 분야 정보 교류의 장으로 자리매김했다현재 하노이지부 협회장은 한화에너지 신병철 상무호치민지부 협회장은 누리플렉스 김진영 지사장이 맡고 있다.

 

Thi Vai LNG 터미널 방문

 

이번 에너지협회 LNG 터미널 현장 방문에서는 Thi Vai LNG 터미널에 대한 PV Gas 측의 설명을 듣고 서로 의견을 공유했다. 또한 상황실 등을 방문하며 현장을 돌아보는 시간으로 구성됐다이를 통해 LNG 수입 현황 및 운영 동향에 대해 청취했다. 더불어 지난 4월 15일 발표된 제8차 전력개발계획 내 베트남 LNG 발전소 프로젝트 리스트에 대해 서로 논의하는 시간 등을 가졌다.

 

<Thi Vai LNG 터미널 현장 방문 사진>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1. Thi Vai LNG 터미널 개요

 

베트남 최초의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인 Thi Vai LNG 터미널은 베트남 남부 바리아-붕따우성 푸미 지역의 Cai Mep 산업단지에 위치해 있다. 8만5000톤 용량의 LNG 운반선을 수용할 수 있다. 1기는 18만 ㎥ 용량의 LNG 저장탱크와 장비가 포함 있다이곳에서는 해외에서 수입된 LNG를 저장하고 재기화주변의 Nhon Trach 3, 4 발전소와 같은 인근 가스발전소에 LNG 가스 등을 공급한다또한 LPG 저장시설이 있어베트남 남부 호찌민시 산업체 및 가정용 LPG 공급의 거점 역할을 수행한다.

 

2019년 삼성물산에서 공사를 착공 LNG 탱크 1기화송출설비 및 Jetty Modification(부두 시설로 LNG 선박 접안 및 하역등을 구축했다당시 EPC(설계조달시공)계약 수주 관련 삼성물산이 현지기업 PTSC와 컨소시엄을 구성 설계기자재 조달시공 및 시운전 등을 총괄했다약 4년 간의 건설 및 시운전 끝에 2023년부터 본격적인 가동이 시작됐다본 터미널 공사 총투자액은 약 28500만 달러이다. 해당 탱크는 -170℃에 이르는 액화 LNG의 온도를 견딜 수 있도록또한 연간 100만 톤의 LNG를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 Thi Vai 터미널은 복합 가스 허브로 계획 LNG, LPG를 모두 처리한다. 또한 인접한 부두 시설의 수심이 깊어, LNG 가스를 실은 선박의 접근이 용이하다일례로 2023년 7월 인도네시아 Bontang에서 출발한 Maran gas Achilles호가 7만 톤의 LNG를 실어와 최초의 LNG 수입을 완료했다.

 

<Thi Vai LNG 터미널 사진>

 

[자료: DATA Energy]

 

2. LNG 터미널 및 발전소 한국 기업 기회 요인

 

Thi Vai LNG 터미널 발주처이자 소유주인 PV Gas는 2025년 말까지 EPC 계약을 체결하고, 2027년까지 터미널의 처리 능력을 연간 300만 톤으로 확대할 예정이다또한 PV Gas에서는 동남부 지역의 LNG 공급 능력을 하루 2200~2300로 확대하기 위해 부유식 저장 시설(FSRU)관련 투자도 검토 중이다또한 향후 LNG 발전소 22개 프로젝트 리스트가 지난 4월 15일 정부가 발표한 제8차 전력개발 계획에 포함됨에 따라향후 한국 기업의 개발·투자자로서의 참여와 건설 기회 등이 기대된다.

 

3. 베트남 LNG 발전소 개발 계획

 

이번 LNG 터미널 방문에서는 2025년 4월 15일에 발표된 PDP8 개정안 리스트에 있는 22개 LNG 발전소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최근 PDP8 개정안 발표('25.4.15.)에 따르면, 2030년까지 총 15개 LNG 발전소 사업 준공 예정이다. 즉, 최소 26GW 이상 증설하는 계획을 수립했다또한 2035년까지는 6개 LNG 발전소 사업 준공을 계획  발전소 연계 LNG 수입기지 및 터미널 구축 사업도 지속 추진할 예정이다.

 

<PDP 8 개정안 내 베트남 중장기 LNG 발전소 프로젝트 리스트>

구분

프로젝트명

지방성

뀐랍(Quynh Lap) 1.5GW LTP 사업

Nghe An(응애안성)

까나(Ca Na) 1.5GW LTP 사업

구 Ninh Thuan(닝투언성신규 Khanh Hoa(카잉화성)

응이손(Nghi Son) 1.5GW LTP 사업

Thanh Hoa(타인호아성)

꽝닌(Quang Ninh) 1.5GW LTP 사업

Quang Ninh 꽝닝성)

타이빈(Thai Binh) 1.5GW LTP 사업

구 Thai Binh(타이빈성신규 Hung Yen(흥이옌성)

꽝짝(Quang Trach) 2 1.5GW LTP 사업

Quang Binh(꽝빈성)

하이랑(Hai Lang) 1.5GW LTP 사업

구 Quang Tri(꽝찌성신규 Quang Binh(꽝빈성)

손미(Son My) 1 2.25GW LTP 사업(BOT)

Binh Thuan 빈투언성)

손미(Son My) 2 2.25GW LTP 사업

Binh Thuan(빈투언성)

년짝(Nhon Trach) 3,4 1.624GW LTP 사업

Dong Nai(동나이성)

히엡프억(Hiep Phuoc) 1 1.2GW LTP 사업

Ho Chi Minh(호치민시)

롱안(Long An) 1 1.5GW LTP 사업

Long An(롱안성)

박리에우(Bac Lieu) 3.2GW LTP 사업

구 Bac Lieu(박리에우성신규 Ca Mau(까마우성)

히엡프억(Hiep Phuoc) 2 1.6GW(신규)

Ho Chi Minh(호치민시)

하이퐁(Hai Phong) 1 1.6GW(신규)

Hai Phong(하이풍시)

롱손(Long Son) 1.5GW

구 Ba Ria – Vung Tau(바리아 붕따우성신규 호치민시

꽁타인(Cong Thanh) 1.5GW

Thanh Hoa(타인호아성)

붕앙(Vung Ang)3 1.5GW

Ha Tinh(하띤성)

롱안(Long An) 2 1.5GW

Long An(롱안성)

하이퐁(Hai Phong) 2 3.2GW

Hai Phong(하이풍시)

꽝짝(Quang Trach) 3 1.5GW

Quang Binh(꽝빈성)

주: PDP8 개정안 원문의 리스트 22번 '새 개발 및 2035년 이후 잠정 지역들 나열' 제외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PDP8 개정안에 따르면 베트남은 2030년까지 최대 236.4GW의 전력 총 설비용량을 갖출 계획이다관련하여 2035년 이후에는 국내 개발 가스를 우선 활용하고 수소 혼합 연소 발전을 점진적으로 추진한다. 이후 수입 LNG 의존을 최소한으로 낮출 수 있는 대안을 검토할 예정이다우선은 중장기 LNG 발전설비 개발 계획에 따라 21개의 LNG 발전소 개발 계획이 명시되어한국기업들의 해당 프로젝트 공고 및 진행 계획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특히나 한국기업들이 개발자로 수주 한 롱안1(GS에너지) LNG, 하이랑(한화에너지남부발전가스공사 등) LNG 발전소 이외에도 투자자 선정 과정에 있는 뀐랍 LNG, 응이손 LNG, 까나 LNG 발전소 등의 향후 진행 과정도 주목된다.

 

이번 한국에너지협회 회원사들의 Thi Vai LNG 터미널 방문은베트남 최초의 LNG 터미널 인프라를 방문함으로써 베트남의 에너지 다각화에 대한 의지를 확인하는 시간이 됐다. 또한 베트남의 LNG 플랜트 발전에 관한 애로사항 및 의견을 나눌 수 있었다.

 

베트남 DPPA(직접전력구매제도) 세미나 

 

이번 에너지협회 세미나에서는 지난 3월 3일 발표된 DPPA(직접전력구매제도시행령(Decree No.57/2025/ND-CP) 관련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DPPA는 전력 필요기업·소비자가 EVN(베트남 전력공사)를 거치지 않고 재생에너지 발전사들과 직접 구매계약을 체결해 전력을 공급 받아 사용할 수 있는 제도이다. 2024년 7월 DPPA 관련 법령(Decree No.80/2024/ND-CP)이 발표 됐고이후 올해 3월 DPPA 시행령이 발표됐다이번 세미나에서는 DPPA 모델의 두가지 형태인 물리적(Off-Grid) DPPA와 가상(Grid-Connected) DPPA에 대한 설명재생에너지 발전 기업 및 전력 소비자에게 어떤 기회요인이 되는지를 중점 토의했다.

 

<베트남 DPPA 세미나 사진>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1. 베트남 DPPA 구조

 

첫 번째 모델인 ① 물리적(Physical) DPPA의 경우 공장 근처에 발전소를 지어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다이는 발전사와 소비자 간에 직접 계약이 이루어진다한편 ② 가상의(Virtual) DPPA의 경우 거리가 먼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EVN(베트남 전력공사송전망을 통해 전기를 공급받는 방식이다이러한 구조는 두 모델의 가격 정산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을 초래한다.

 

<DPPA 전력 공급방식에 따른 차이>

구분

개별 송전선 (물리적 DPPA)

국가전력망 활용 (가상 DPPA)

전력 흐름

발전사업자 → 사설 송전선 → 수요자

발전사업자 → 국가전력망(EVN) → 수요자

전압/용량 기준

없음 (용량·전압 기준 비포함)

최소 10MW 이상의 발전설비 필요

계약 방식

발전사업자 ↔ 수요자 간 직접계약

발전사업자 ↔ 전력공급자 ↔ 수요자 (삼자계약 구조)

전력단가

판매자와 구매자 간 자유협의로 하되 전력도매시장 가격을 넘지 않도록 함

전력도매시장(VWEM) 가격 송배전/운영료 기반

재판매 가능 여부

3자 재판매 금지

직접 소비 목적에 한함

송전 방식

전용 사설 송전선로구축 필요

국가전력망(EVN)통해 송전

참여 복잡성

상대적으로 단순 (쌍방간 거래)

전력청도매시장소매사 등 연계 복잡

적용 대상

인근 수요자와 직접 연결 가능한 프로젝트

장거리 송전이 필요한 대형 프로젝트에 유리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종합]

 

<베트남 DPPA 시행령 변화>

조건 항목

과거 시범안

(Decree 80/2024/ND-CP)

현행 시행령

(Decree 57/2025/ND-CP, 2025.3.3)

전력구매자 조건

- 22㎸ 이상 전력설비

 월 20만 이상 사용

 계약 전력의 80% 이상 구매 의무(최초 3)

- 동일(산업무역부가 규정한 도매 전력시장 상의 대규모 소비량보다 낮아서는 안 됨)

전력판매자 조건

태양광·풍력 중심

 - 30㎿ 이상

 기술적·재무적 역량 입증 필요

- 일부 완화재생에너지 종류 확대(바이오매스 포함구체적  요건은 삭제

- 기술·재무 요건은 존재하지만 자율적 제출 기반으로 함

구매 강제 비율 (80%)

최초 3년간 계약용량의 80% 이상 의무 구매

- 삭제됨고정된 구매 비율 의무 없음

참여 대상 에너지

태양광·풍력 중심

- 10 이상 바이오매스소수력 등 포함

[자료: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2. 가상 DPPA의 가격 정산 구조

 

가상 DPPA의 경우재생에너지 사업자(발전사업자/GENCO)는 EVN과 PPA를 맺고 기존과 유사하게 도매시장가(VMEM)를 활용해 전력을 시장가격(Spot Price)으로 전력을 판매한다이 실물 전력은 EVN의 송전망, 즉, 국가전력망을 이용하기 때문에기존과 유사하다. 이에 시장가격(Spot Price) 기준으로 전력을 판매하게 된다이후재생에너지 사업자가 전력 소비자와 사전에 협의한 전력구매 단가 상 고정가격(Strike Price)에 기반한 Forward Contract를 체결 차액을 정산하는 구조다이 구조는 에너지 사업자에게 시장가 수익과 계약가 보전이라는 혼합적 수익 모델을 제공한다다만, 시장가격이 변동할 수 있다는 점과, DPPA 부가요금(송전망 이용료 등)의 불확실성이 리스크로 작용한다.

 

<베트남 DPPA 모델 비교(① 물리적 DPPA, ② 가상의 DPPA 구조)>

[자료누리플렉스]

 

<베트남 DPPA 관련 개념>

용어

정의

Strike Price

- GENCO(발전사업자)와 소비자가 사전에 합의한 전력 구매 단가(Forward Contract상 고정가격)

Spot Price

- 베트남 전력도매시장(VMEM)의 실제 전력거래 단가(30분 단위 실시간 시장가격)

DPPA Charges

- 송배전료전력망 운영료 등 EVN이 부과하는 서비스 요금(매년 갱신)

Forward Contract

- 가상 DPPA는 EVN의 국가전력망을 통해 전달 GENCO가 직접 전기 전달이 불가

 - 이에 발전사-비자 간 합의된 가격(Strike Price)을 기준으로 도매 시장가격(Spot Price)와의 차액만 현금으로 주고받게 됨

[자료: KOTRA 하노이 무역관]

 

위와 같은 경우발전사업자(GENCO)와 소비자는 합의된 가격(Strike Price)에 전력 거래를 정산한다이후 차액에 대해서는 ① Strike Price > Spot Price 일 경우 소비자가 발전사업자(GENCO)에게 차액을 지급한다. ② Strike Price < Spot Price 일 경우 발전사업자(GENCO)가 소비자에게 차액을 지급하는 구조가 된다즉 가상의 DPPA에서는 발전사업자가 시장에서 도매가인 Spot Price로 우선 전기를 팔고차액은 Forward Contract를 통해 정산받는 구조이다.

 

이에 발전사업자(GENCO) 입장에서는시장가격의 평균값보다 약간 높은 수준에서 합의된 가격(Strike Price)를 설정하게 될 경우 유리한 전략이 된다또한 Spot Price가 낮을 경우 차액 수령으로 수익 보전이 가능하다다만 시장가격인 Spot Price가 상승할 경우소비자에게 차액을 돌려줘야  수익이 감소하며또한 DPPA Charges라 불리는, 이른바 송배전료 등의 EVN 국가 전력망 이용료 지급 금액 변동성이 리스크로 작용한다.

 

3. 베트남 DPPA 과제

 

1) Physical DPPA 가격 상한(Ceiling Price)

고객사와 발전사 간의 계약 가격에 상한선(실링 프라이스)이 생겨투자자 입장에서 수익성이 낮아진다.(필요한 7~8센트 대신 4~5센트 수준). 이 실링 프라이스는 전년도 평균 실링 프라이스를 기준으로 적용된다하지만 스팟 마켓(매 30분마다 결정되는 전기 도매시장(VWEM) 가격인 Spot Price가 적용되는 시장)에서 입찰로 판매할 때는 이 상한이 적용되지 않고 시세로 판매할 수 있다.

 

2) 2024년 개정 토지법의 영향

발전 사업자가 토지를 매입할 때 농지 등이 상업용(태양광 등)으로 변경될 경우지역에 따라 기존 가격의 10배에서 20배까지 지불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했다이로 인해 기존에 예상했던 PPA 금액과 실제 투자 비용이 달라져 DPPA 계약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이에 명확한 토지 보상 금액 확정 규명이 필요하다.

 

3) DPPA Charge 이슈

EVN이 부과하는 DPPA Charge 금액(일종의 송전망 이용료)에 대한 논의가 있었고, 2.1센트에서 2.2센트 수준이 언급으나 공식 발표가 확인되지 않아 불확실하다. 현지화인 VND 동화로 DPPA Charge를 부과하게 되니 환율 변동 리스크(USD와 VND)도 존재한다

 

4) 투자자 리스크

고객사의 예상치 못한 요구사항(시간대별 전력 공급 등)이 있을 수 있다베트남 정부가 시장에서의 전력 판매량을 보장(Guarantee)해주지 않기 때문에 재생에너지 발전 기업은 시장에서 전력을 충분히 팔지 못할 경우 전체 매출에 대한 리스크가 있다.

 

4. 베트남 DPPA 기회요인

 

1) 정책적 지지

PDP8(8차 국가 전력 개발 계획)이 공식 발표풍력과 태양광 프로젝트가 리스트업이에 국가가 지향하는 풍력 및 태양광 사업개발사업을 확인 할 수 있다.

 

2) 전력 공급 확대

확정된 금액 또는 현재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20~25년간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받아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

 

3) 시장 상황

베트남의 경제 성장률에 비해 에너지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며전기 요금이 지속적으로 오를 수밖에 없는 구조에 있다(예: EVN에서 2025년 5월 10일 평균 소매 전기요금 4.8% 전기요금 인상). 따라서 DPPA를 통해 EVN보다 낮은 할인율을 적용받거나고정된 요금으로 계약하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할 수 있다.

 

이번 한국에너지협회 DPPA 세미나는지난 3월 발표된 DPPA 시행령의 방향을 살펴보는 시간이 됐다. LNG 터미널 현장방문 및 세미나에 참가한 기업 A는 KOTRA 하노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베트남의 전력시장에 대해 열띤 토론을 한 것 같다. 특히나 한달 전 발표된 PDP8 개정안에서 태양광이 확대 DPPA에 대한 논의도 기대가 컸다. 앞으로도 이런 기회가 협회 등에서 자주 있으면 좋겠다'라는 소감을 밝혔다. 이번 행사는 베트남의 2050년 넷제로 선언 및 지난 4월 15일 발표된 PDP8 개정안 내 프로젝트에 대한 의견 공유의 장이 되었다. 또한 태양광 발전 업체들의 고민과 기대 사항을 서로 나누는 시간이었다.

 

 

자료베트남 한국에너지협회베트남 산업무역부 등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이전글 (이집트 카이로 무역관) EBRD, 이집트 경제 성장률 2025/26 회계연도에 4.4%로 반등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