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은행] 수출입銀, 대만 해상풍력 사업에 1.5억 달러 금융 제공 | |
---|---|
KOPIA/ 작성일: 25-07-04 09:14 | |
영상링크 | |
□ 한국수출입은행(www.koreaexim.go.kr, 은행장 윤희성, 이하 ‘수은’)은 LS전선 등 국내 5개 해상풍력 업체들이 참여하는 ‘대만 장화 2 해상풍력발전사업’에 총 1억 5000만 달러(45억 대만 달러) 규모의 프로젝트 파이낸스(Project Finance)* 금융을 제공한다고 3일 밝혔다. * Project Finance: 기업금융(Corporate Finance)은 기업의 신용을 바탕으로 금융을 제공하는 반면, Project Finance는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미래현금흐름을 바탕으로 대출금 상환재원을 마련하고, 프로젝트 자산·권리 등을 담보로 해당 프로젝트의 건설자금을 조달하는 금융기법
□ 장화 2 해상풍력발전사업은 대만 중서부 장화현 해안에서 약 35~60㎞ 떨어진 해상에 총사업비 43억 달러를 투입, 설비용량 624M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건설·운영하는 프로젝트다.
ㅇ 이는 대만 정부가 ‘2050 탄소중립 로드맵’에 따라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생산 전력은 전력구매계약에 따라 대만전력공사와 TSMC*에 20년간 판매할 예정이다. * 세계 최대의 반도체 위탁생산 기업으로 반도체 기업 중 최초로 RE100 가입
ㅇ 특히 TSMC는 재생에너지 역대 최대 규모의 전력구매계약을 체결함으로써, 2040년 RE100 달성을 본격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 수은은 총 4억 달러 규모 국산 해상풍력 기자재 수출*을 지원하는 이번 사업을 위해 1억 5000만 달러 규모의 수출금융보증을 제공한다. * 해상풍력 기자재 수출 계획 (총 4억 달러 규모) · 하부구조물: HSG성동조선, SK오션플랜트, 현대스틸산업, 태웅(3억 달러) · 해저케이블: LS전선(1억 달러)
ㅇ 수은의 채무보증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우리 기업들이 수출하는 해상풍력 기자재 결제자금 용도로 사용된다.
□ 수은 관계자는 “해상풍력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 전력원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향후 글로벌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도 전망되는 만큼, 국산 기자재 수출 확대를 위한 실적(트랙 레코드) 축적이 절실하다”면서,
ㅇ “대만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역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해상풍력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 만큼, 국내외 해상풍력 사업에 대한 정책금융 지원을 통해 우리 기업의 트랙 레코드 축적을 뒷받침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상풍력 기자재 수출산업화 및 해외시장 진출 확대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수출입은행 홈페이지 |
|
이전글 | [수출입은행] 이슈보고서_중국의 대 중앙아시아 투자 확대와 시사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