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재외공관


아시아 | (주 중국 대사관) 중국, 국가 전력 탄소배출계수 및 탄소발자국 계수 발표
KOPIA/ 작성일: 25-03-28 09:07
첨부파일 중국2021전력탄소배출계수외2.zip

○ 중국 생태환경부와 국가통계국은 2021·2022년 전력 이산화탄소 배출계수를 다음과 같이 공고함.

- 전력망 분포, 데이터 가용성에 따라 전국/지역/성급 전력망으로 구분, 탄소 배출계수(㎏CO2e/㎾h) 개발

- 지역 전력망 경계는 화북, 동북, 화동, 화중, 서북, 남부 및 서남지역으로 구분

- 기초 데이터는 '중국 에너지통계연감'(국가통계국), '중국 전력통계연감'(중국전력기업연합회), 발전 설비 실측 데이터, 전력망 기업 통계 데이터 등 활용

 

○ 2022년 전국 전력 평균 탄소 배출계수와 화석에너지 전력 탄소 배출계수 모두 2021년 대비 감소함.

 

○ 2022년 지역별 전력 평균 탄소배출계수는 0.2268(서남)~0.6776(화북) 수준임.

 

- 화북, 동북, 남부지역은 2021년 대비 감소, 화중과 서남지역은 증가

 

○ 2022년 성급 전력 평균 탄소배출계수는 0.1073(윈난)~0.7252(허베이) 수준임.

 

○ 아울러, 중국 생태환경부·국가통계국·국가에너지국은 2023년 전력 탄소발자국 계수를 다음과 같이 공고함.

- 전력망 통계데이터, 발전설비 측정데이터 등을 토대로 전국/ 발전유형별/ 송배전 전력 탄소발자국 계수(㎏CO2e/㎾h) 발표

- 원자재 취득, 건설, 운영 및 유지보수, 설비 폐기 등 전 과정 탄소 배출 고려

 

○ 전국 전력 평균 탄소발자국 계수는 0.6205, 발전 유형별 탄소발자국 계수는 0.9440 (석탄화력)~0.0065(원자력) 수준임.

- 비화석에너지 전력 탄소발자국 계수는 △태양광(0.0545) △풍력(0.0336) △태양열(0.0313) △수력(0.0143) △원자력(0.0065) 순

 

○ 한편, 중국은 지난 1월 국가 온실가스 배출계수 데이터베이스 운영도 개시함.

      ※ 주소: https://data.ncsc.org.cn/factoryes/index 

 

○ 동 데이터베이스는 중국 생태환경부와 국가통계국이 공동 주도하였으며, 사회적 수요 큰 업종을 우선 대상으로 배출계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탄소 배출량 산정 모듈을 지원함.

- 연료 연소, 석탄 생산, 탄산염 사용, 클링커 생산, 폐수 및 고형폐기물 처리, 농업 생산 등의 직접배출과 전력 구매 간접배출 포함

- 이산화탄소 외 메탄, 아산화질소, 불화온실가스 배출계수 제공

 

붙임1. 중국 2021 전력 탄소 배출계수 

2. 중국 2022 전력 탄소 배출계수 

3. 중국 2023 전력 탄소발자국 계수 

 

출처 : 기후에너지협력센터 

이전글 (주 카자흐스탄 대사관) 카자흐스탄, 수백만 톤의 흑연 채굴 계획
다음글 (주 삿포로 총 영사관) 일본 홋카이도 해상풍력 사업화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