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웨이트 쿠웨이트 무역관) 쿠웨이트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분석 | ||||||||||||||||||||||||||||||||||||||||||||||||||||||||||||||||||||||||||||||||||||||||||||||||||||||||||||||||||||||||||||||||||||||||||||||||||||||||||||||||||||||||||||||||||||||||||||||||||||||||||||||||||||||||||||||||||||||||||
---|---|---|---|---|---|---|---|---|---|---|---|---|---|---|---|---|---|---|---|---|---|---|---|---|---|---|---|---|---|---|---|---|---|---|---|---|---|---|---|---|---|---|---|---|---|---|---|---|---|---|---|---|---|---|---|---|---|---|---|---|---|---|---|---|---|---|---|---|---|---|---|---|---|---|---|---|---|---|---|---|---|---|---|---|---|---|---|---|---|---|---|---|---|---|---|---|---|---|---|---|---|---|---|---|---|---|---|---|---|---|---|---|---|---|---|---|---|---|---|---|---|---|---|---|---|---|---|---|---|---|---|---|---|---|---|---|---|---|---|---|---|---|---|---|---|---|---|---|---|---|---|---|---|---|---|---|---|---|---|---|---|---|---|---|---|---|---|---|---|---|---|---|---|---|---|---|---|---|---|---|---|---|---|---|---|---|---|---|---|---|---|---|---|---|---|---|---|---|---|---|---|---|---|---|---|---|---|---|---|---|---|---|---|---|---|---|---|---|---|---|---|---|---|---|---|---|---|---|---|---|---|---|---|---|
KOPIA/ 작성일: 25-03-24 09:19 | ||||||||||||||||||||||||||||||||||||||||||||||||||||||||||||||||||||||||||||||||||||||||||||||||||||||||||||||||||||||||||||||||||||||||||||||||||||||||||||||||||||||||||||||||||||||||||||||||||||||||||||||||||||||||||||||||||||||||||
쿠웨이트 직접투자진흥청(KDIPA, Kuwait Direct Investment Promotion Authority)은 2023/2024 연례 보고서를 통해 쿠웨이트의 외국인 직접 투자 현황과 향후 전망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2024 회계연도 동안 신규 승인된 FDI는 2억690만 디나르(약 7억2천만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2015년부터 현재까지 누적 승인 FDI 규모는 17억5천만 디나르(약 61억 달러)에 달한다.
<쿠웨이트 FDI 동향> [자료: KDIPA]
2023/2024 신규 FDI 승인 현황 승인된 신규 투자 총규모는 206,923,151 디나르로 승인된 투자 기업 수는 16개 기업이다. 투자 유입국은 중국, 베트남,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등을 포함한 12개 국이며 세부 승인 내역 및 산업별 투자 비율은 아래와 같다.
<2023/2024 신규 FDI 승인 건>
[자료: KDIPA]
<산업별 신규 투자 비율>
[자료: KDIPA]
에너지 및 전력, 건설 및 인프라 분야의 투자가 전체 투자의 50%가량을 차지했으며 이어서 보험, 농업, 정보기술(IT) 분야의 비중이 크다. 특히 농업 분야에 대한 투자가 최초로 유입된 점에 주목할 만하며 이는 쿠웨이트 정부의 식량 및 보건 안보 강화 정책과 맞물려 새로운 투자 기회가 창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누적 FDI 현황(2015~2024년) 2015년부터 2024년까지 KDIPA가 승인한 누적 투자 규모는 총 17억 5천만 디나르다. 정보기술(IT) 부문이 전체 투자에서 33.24%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고 건설·인프라(15.51%), 보험(3.11%), 에너지(6.05%) 등의 분야에서도 활발한 투자 유입이 이루어졌다.
<2015~2024년 부문별 누적 투자 비율>
[자료: KDIPA]
FDI 유입 국가별로는 유럽(59.98%)과 아시아(28.50%)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뒤를 이어 북미(9.52%), 아프리카(1.90%)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누적 투자 비중> [자료: KDIPA]
주요 투자국을 살펴보면, 영국의 경우 석유 및 가스, 건설 및 인프라 부문의 투자를 주도했으며 중국은 건설 및 에너지 프로젝트 참여가 증가했다. 더불어 미국은 정보기술(IT), 시장 조사 및 컨설팅 분야에 활발한 투자를 해 왔다. 이 밖에도 네덜란드, 인도, 레바논, 이집트 등이 보험, 컨설팅, 농업 분야의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2015~2024년 주요 국가별 누적 투자액 및 비율>
[자료: KDIPA]
쿠웨이트 정부의 투자 유치 전략 및 인센티브
KDIPA는 외국인 투자 유치를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기업의 쿠웨이트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1) 투자 인센티브 ✔ 100% 외국인 소유 허용 (일부 산업) ✔ 최대 10년간 법인세 면제 ✔ 기계 및 원자재 수입세 면제 ✔ 자본 및 수익 해외 송금 가능 ✔ 쿠웨이트 경제특구 내 사업 확장 가능 ✔ 디지털 원스톱 시스템(One-Stop Shop) 제공
(2) 주요 경제특구(Economic Zones) - 알 압달리 경제특구: 물류, 무역, 서비스 중심 - 알 와프라 경제특구: 농업 및 식량 안보 중심 - 알 누와이세브 경제특구: 제조 및 산업 투자 허브 - 슈와이크 & 수반 자유무역지대: 외국 제조업체 투자 유치
2025년 쿠웨이트 FDI 전망
쿠웨이트의 FDI는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해왔다. KDIPA는 2025년 이후 FDI도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특히 IT 및 디지털 경제 부문의 성장이 가속화되면서 해당 분야에 대한 투자 유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도별 FDI 증가 추세>
[자료: KDIPA]
현재 쿠웨이트는 GCC(걸프협력회의) 국가들 간의 투자 유치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비전 2030), UAE(두바이·아부다비 자유구역), 카타르(월드컵 이후 경제개발 전략) 등 주변국들이 공격적으로 투자 유치 정책을 펼치면서 쿠웨이트도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KDIPA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행정 절차 간소화, 세제 혜택 확대 등 투자 환경 개선 정책을 강화하고 있으며, 최근 세계 투자진흥기구(WAIPA) 부회장직을 수임(2023~2025년)하며 국제 투자 네트워크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쿠웨이트 정부가 친환경 에너지, 스마트 농업, 헬스테크 등 신산업 분야의 투자 유치 전략을 강화하면서 신규 투자 기회도 창출될 전망이다.
자료: KDIPA, 현지 언론 및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
||||||||||||||||||||||||||||||||||||||||||||||||||||||||||||||||||||||||||||||||||||||||||||||||||||||||||||||||||||||||||||||||||||||||||||||||||||||||||||||||||||||||||||||||||||||||||||||||||||||||||||||||||||||||||||||||||||||||||
이전글 | (캄보디아 프놈펜 무역관) 2024년 캄보디아: 경제 및 교역 동향 | |||||||||||||||||||||||||||||||||||||||||||||||||||||||||||||||||||||||||||||||||||||||||||||||||||||||||||||||||||||||||||||||||||||||||||||||||||||||||||||||||||||||||||||||||||||||||||||||||||||||||||||||||||||||||||||||||||||||||
다음글 | (라오스 비엔티안 무역관) 중국, 라오스 북부에 풍력 발전 단지 건설 예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