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정보은행
중동 · 아시아 플랜트 정보 제공서비스
KOPIA

KOTRA


(쿠웨이트 쿠웨이트 무역관) 쿠웨이트 외국인직접투자(FDI) 동향 분석
KOPIA/ 작성일: 25-03-24 09:19

쿠웨이트 직접투자진흥청(KDIPA, Kuwait Direct Investment Promotion Authority)은 2023/2024 연례 보고서를 통해 쿠웨이트의 외국인 직접 투자 현황과 향후 전망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3/2024 회계연도 동안 신규 승인된 FDI는 2억690만 디나르(약 7억2천만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2015년부터 현재까지 누적 승인 FDI 규모는 17억5천만 디나르(약 61억 달러)에 달한다.

 

<쿠웨이트 FDI 동향>

[자료: KDIPA]

 

2023/2024 신규 FDI 승인 현황


승인된 신규 투자 총규모는 206,923,151 디나르로 승인된 투자 기업 수는 16개 기업이다. 투자 유입국은 중국, 베트남,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등을 포함한 12개 국이며 세부 승인 내역 및 산업별 투자 비율은 아래와 같다. 

 

<2023/2024 신규 FDI 승인 건>

국가 

기업명 

산업 

투자금액(KWD) 

중국 

Sinohydro Corporation Limited

건설 및 인프라 

51,034,232 

베트남(75%) 

쿠웨이트(25%) 

(베) TRUNG NAM CONSTRUCTION INVESTMENT CORP 

(쿠) Alsahab Energy Company for Infrastructurework for Petroleum Services 

에너지 및 전력 

(베) 41,059,640 

(쿠) 13,686,547 

케이맨 제도 

Pure Harvest Smart Farms LTD 

농업 

17,341,446 

룩셈부르크 

BCG Luxembourg Holding SARL 

컨설팅 및 자문 

15,087,874 

네덜란드 

Mena Digital Hub B.V 

IT 

13,971,817 

인도 

The Oriental Insurance Company Limited 

보험 

13,100,320 

미국 

Johnson & Johnson Healthcare 

시장 조사 및 홍보 

11,373,400 

미국 

American Life Insurance Company 

보험 

10,420,239 

오만 

National Life and General 

Insurance Company 

보험 

8,685,000 

레바논 

Cigna Insurance Middle East S.A.L 

보험 

3,551,703 

영국 

BP Kuwait limited for 

 Petroleum Consultancy

석유 및 가스 

2,000,000 

요르단 

Jordan Insurance Public Limited 

보험 

1,880,200 

미국 

Amazon for Data Processing 

and Web Hosting 

IT 

1,307,000 

레바논 

Libano Suisse Insurance 

보험 

1,230,237 

이집트 

Misr Insurance 

보험 

824,496 

영국 

Joseph Gallagher and Partner

건설 및 인프라 

369,000 

[자료: KDIPA]

 

<산업별 신규 투자 비율>

 

산업

 
 

신규 투자 비율(%)

 
 

에너지 및 전력

 
 

26.46

 
 

건설 및 인프라

 
 

24.84

 
 

보험

 
 

19.18

 
 

농업

 
 

8.38

 
 

정보기술(IT)

 
 

7.38

 
 

컨설팅 및 자문

 
 

7.29

 
 

시장 조사 및 홍보

 
 

5.50

 
 

석유 및 가스

 
 

0.97

 

[자료: KDIPA]

 

에너지 및 전력, 건설 및 인프라 분야의 투자가 전체 투자의 50%가량을 차지했으며 이어서 보험, 농업, 정보기술(IT) 분야의 비중이 크다. 특히 농업 분야에 대한 투자가 최초로 유입된 점에 주목할 만하며 이는 쿠웨이트 정부의 식량 및 보건 안보 강화 정책과 맞물려 새로운 투자 기회가 창출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누적 FDI 현황(2015~2024년)


2015년부터 2024년까지 KDIPA가 승인한 누적 투자 규모는 총 17억 5천만 디나르다. 정보기술(IT) 부문이 전체 투자에서 33.24%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고 건설·인프라(15.51%), 보험(3.11%), 에너지(6.05%) 등의 분야에서도 활발한 투자 유입이 이루어졌다.

 

<2015~2024년 부문별 누적 투자 비율>

 

산업

 
 

누적 투자액(KWD)

 
 

비율(%)

 
 

정보기술(IT)

 

581,390,393

 

33.24

 
 

석유 및 가스 서비스

 

430,265,691

 

24.60

 
 

건설 및 인프라

 

271,250,974

 

15.51

 
 

에너지 및 전력

 

105,776,648

 

6.05

 
 

의료 서비스

 

77,396,457

 

4.42

 
 

교육 및 훈련

 

73,958,393

 

4.23

 
 

보험

 

54,351,767

 

3.11

 
 

컨설팅 및 자문

 

53,190,739

 

3.04

 
 

항공

 

52,590,485

 

3.01

 
 

농업

 

17,341,446

 

0.99

 
 

환경

 

13,781,940

 

0.79

 
 

시장 조사 및 홍보

 

13,100,662

 

0.75

 
 

예술 및 엔터테인먼트

 

4,354,871

 

0.25

 
 

기타

 

396,285

 

0.01

 

[자료: KDIPA]

 

FDI 유입 국가별로는 유럽(59.98%)과 아시아(28.50%)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뒤를 이어 북미(9.52%), 아프리카(1.90%)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누적 투자 비중>

[자료: KDIPA]

 

주요 투자국을 살펴보면, 영국의 경우 석유 및 가스, 건설 및 인프라 부문의 투자를 주도했으며 중국은 건설 및 에너지 프로젝트 참여가 증가했다. 더불어 미국은 정보기술(IT), 시장 조사 및 컨설팅 분야에 활발한 투자를 해 왔다. 이 밖에도 네덜란드, 인도, 레바논, 이집트 등이 보험, 컨설팅, 농업 분야의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2015~2024년 주요 국가별 누적 투자액 및 비율>

순위

국가 

투자액(KWD) 

비율(%) 

1

네덜란드 

488,891,875 

27.95 

2

중국 

218,661,289 

12.50 

3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 

147,437,298 

8.43 

4

아일랜드 

136,400,000 

7.80 

5

캐나다 

103,562,000 

5.92 

6

스페인 

89,110,166 

4.04 

7

튀르키예 

65,192,521 

3.73 

8

미국 

62,915,972 

3.60 

9

이탈리아 

54,134,288 

3.09 

10

베트남 

41,059,640 

2.35 

11

이집트 

33,153,244 

1.90 

12

프랑스 

28,308,111 

1.62 

13

인도 

26,614,968 

1.52 

14

독일 

25,676,940 

1.47 

15

스위스 

20,496,455 

1.17 

16

룩셈부르크 

18,671,874 

1.07 

17

한국 

18,275,426 

1.04 

18 

케이맨 제도

17,341,446

0.99

19

일본

14,038,760

0.80

20

레바논

12,843,090

0.73

[자료: KDIPA] 

 

쿠웨이트 정부의 투자 유치 전략 및 인센티브

 

KDIPA는 외국인 투자 유치를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기업의 쿠웨이트 진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1) 투자 인센티브

 100% 외국인 소유 허용 (일부 산업)

 최대 10년간 법인세 면제

 기계 및 원자재 수입세 면제

 자본 및 수익 해외 송금 가능

 쿠웨이트 경제특구 내 사업 확장 가능

 디지털 원스톱 시스템(One-Stop Shop) 제공

 

(2) 주요 경제특구(Economic Zones)

- 알 압달리 경제특구: 물류, 무역, 서비스 중심

- 알 와프라 경제특구: 농업 및 식량 안보 중심

- 알 누와이세브 경제특구: 제조 및 산업 투자 허브

- 슈와이크 & 수반 자유무역지대: 외국 제조업체 투자 유치

 

2025년 쿠웨이트 FDI 전망

 

쿠웨이트의 FDI는 지난 몇 년간 꾸준히 증가해왔다. KDIPA는 2025년 이후 FDI도 긍정적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특히 IT 및 디지털 경제 부문의 성장이 가속화되면서 해당 분야에 대한 투자 유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도별 FDI 증가 추세>

 

연도

 
 

신규 FDI (KWD)

 
 

누적 FDI (KWD)

 
 

2015~2019

 
 

10억

 
 

10억

 
 

2020

 
 

1.8억

 
 

11.8억

 
 

2021

 
 

2억 

 
 

13.8억

 
 

2022

 
 

2억

 
 

15.8억

 
 

2023~2024

 
 

2.1억 

 
 

17.9억 

 

[자료: KDIPA]

 

현재 쿠웨이트는 GCC(걸프협력회의) 국가들 간의 투자 유치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특히 사우디아라비아(비전 2030), UAE(두바이·아부다비 자유구역), 카타르(월드컵 이후 경제개발 전략) 등 주변국들이 공격적으로 투자 유치 정책을 펼치면서 쿠웨이트도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KDIPA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행정 절차 간소화, 세제 혜택 확대 등 투자 환경 개선 정책을 강화하고 있으며, 최근 세계 투자진흥기구(WAIPA) 부회장직을 수임(2023~2025년)하며 국제 투자 네트워크에서도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쿠웨이트 정부가 친환경 에너지, 스마트 농업, 헬스테크 등 신산업 분야의 투자 유치 전략을 강화하면서 신규 투자 기회도 창출될 전망이다. 

 

 

자료: KDIPA, 현지 언론 및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이전글 (캄보디아 프놈펜 무역관) 2024년 캄보디아: 경제 및 교역 동향
다음글 (라오스 비엔티안 무역관) 중국, 라오스 북부에 풍력 발전 단지 건설 예정